직무 · 현대자동차 / 파이롯트

Q. 현대자동차 파이롯트가 목표인데, 올바른 길을 걷고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4학년 올라가는 학생입니다.
지난 하반기 플랜트운영 인턴을 지원했고 인적성에서 떨어졌습니다. 이유는 단순히 동기들이 많이 가길래 지원했습니다.
그런데 신뢰성공학이라는 전공수업 들으며 신뢰성에 관심이 생겼고, 현재 정출연 신뢰성분석센터에서 인턴중입니다.
고민은 파이롯트가 제가 원하는 신뢰성 분석을 하는 부서도 아닌 것 같고, 산업공학 전공인 제가 갈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인턴중에 경험한 미니탭 활용능력 및 신뢰성test 내세우며 품질쪽 돌릴까도 생각중이네요. 그러기엔 품질은 또 너무 적게뽑고...
파이롯트를 원했던 이유는 공장에서도 인턴경험이 있어서, 현장과 연구소 사람들을 모두 경험해봤기 때문에 제품 양산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할 자신이 있어서입니다. 하지만 너무 막연한 이유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직자 선배님들께 질문드립니다. 제가 파이롯트를 고집해도 될까요?
아니면 현실적으로 검증이 된 플랜트운영을 가는 것이 나을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3
채택
a
asdffd
코이사 ∙ 채택률 80%

안녕하세요. 중소기업진흥공단 멘토입니다.
현 회사에 근무하기 전에 제조업계에서 종사했었던 경험으로 조언드립니다.
현재 전공이 산업경영공학과로 나오시는데 제 생각에는 이 전공은 파이롯트 직무와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회사마다 범위의 차이는 있지만 일단 파이롯트 직무는 보통 제품이 출시되기전에 설계된 제품을 시생산 해보고 제품과 공정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하는 직무로 알고 있습니다.
산업공학은 결과물의 품질을 보증하면서 최소한의 인력, 장비배치로 공정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학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시작품을 소량생산하여 설계단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직무와는 부합하지 않죠.
산업공학과는 공정, 품질, 설비, 구매 직무쪽에 적합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 조언이 도움이 됬길 바랍니다. 궁금한 내용은 댓글남겨 주세요!


채택
선한영향력7
코부장 ∙ 채택률 67%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후배님 고생이 많으십니다.
일단 파이롯트 직무와 경험이 연관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아무래도 전공 부문에서는 품질에 더 어필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건승하세요.


채택
휴면계정

파이롯트 직무가 생각보다 편하지 않고, 뽑는 인원도 많지 않습니다.
오히려 본인의 전공과 직무역량에 가까운 품질 쪽으로 지원하는 것이 더 좋아보입니다. 품질 직무도 좋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