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품질관리

Q. 완성차에서 하는 품질업무

안녕하세요. 품질관리 직무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상반기에 현대자동차를 포함하여 완성차를 쓰려고 하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Q1. 완성차는 1차 협력업체에서 공급받는 제품을 조립(?)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각 협력사로부터 오는 제품을 검사해야 할 텐데..각 제품의 특성을 알아야 수입검사를 할 수 있지 않나요? 품질부서가 의장팀, 전장팀 이렇게 나뉘는지요.?

Q2. 만약 팀이 나뉘지 않는다면, 자동차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어필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품질 자체에 대한 역량을 어필하는 것이 좋을지..선배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답변 3
채택
선한영향력7
코부장 ∙ 채택률 67%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후배님
직무에 대해 바른 방향성으로 고민을 하시는 것 같아 보기 좋습니다. 일단 차종별로 차급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품질 관련 경험을 어필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승하세요.


채택
휴면계정

Q1. 품질팀은 공장별로 나누어져있습니다. 1공장 품질팀, 2공장품질팀, 이런식으로 나누어 져있습니다. 솔직히 입사 전에 차 종별로 특성을 알고 오기는 무리가 있으니 그런걸로 어필하시지는 않아도 될것 같네요.
Q2. 자동차에 대한 전반적인 흥미와 품질 경험및 꼼꼼함을 강조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채택
메카닉 테디
코부장 ∙ 채택률 70%

보통 알고 가시면 좋지만...현업에서는 그리 큰 기대를 하지(?)는 않습니다.ㅎㅎ
Q1. 각 제품의 경우를 검사할 수도 있지만, 주로는 완성차를 검사하고.. 문제(?)가 생겼을 경우, 각 parts 를 더 꼼꼼히 검사합니다. 예를 들어, 치수라든지..각 part 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라든지..ㅎㅎ
Q2. 자동차 전반적인 부분을 어필하시면 좋겠습니다. 실제로 자동차를 모두 다 알기는 어렵구요.ㅎㅎ자동차 공학 or 시중 서점에 있는 알기 쉬운 ..그림으로된 자동차 서적에 있는 내용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건승하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