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환경관리자

Q. 현대자동차 환경관리 업무 질문

화학과로 이번에 환경관리 업무에 지원하려합니다.
JD를 봐도 크게 와닿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하게 되었는데,
뉴스같은 것을 봐도 사실 기업에서 ESG경영 외치긴하는데 획기적으로 환경오염을 줄이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매출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것으로 알고있는 내연차, SUV를 덜 만들수도 없는 처지구요(대기오염을 더 일으키는 라인들)

궁금한 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저 스스로 이해한 바로는, 환경관리 부서같은 경우에는 정부에서 정해준 기준치만 넘지않게 관리를 하는 부서이고,
그 기준치가 매번 달라서 그걸 때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업무를 하는게 맞는지 궁금하네요.
환경오염물질을 저감한다고는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저감하는지 궁금합니다.

2. 환경신기술 개발도 업무에 적혀져있던데, 이 '환경신기술'이라는게 보통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공정기술을 바꾸는 것도 아닐테고, 매연가스를 어떤 화학물질을 처리해서 저감한다거나 그런걸 말하는걸까요?

답변 3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3. 또, 환경관련 법규 준수도 업무에 포함되어있는데, 이 역시 그 기준치를 넘지않게만 지키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이런 법규 준수를 위해 어떤 조치들을 취하는지도 궁금합니다.

4. 환경관리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요?
어떤 측면에서 봤을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답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환경관리 업무에 대한 질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1. 환경관리 부서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정부에서 정한 환경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이를 넘지 않는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현대자동차와 같은 대기업의 경우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더 나은 환경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법규보다 더 엄격한 내부 규정을 만들어 기준치를 넘지 않는 수준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매년 환경점검을 실시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즉각 대처하고, 미리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2. 환경신기술은 기존의 기술보다 더 환경친화적이고 효율적인 기술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매연가스를 처리하기 위해 산화처리장치를 사용하거나,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대체재료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을 줄이고 저감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3. 법규 준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하나로서, 정부에서 정한 법규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처리, 폐기물 처리, 수질관리 등 다양한 환경관리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법규 준수를 위해 각종 환경감시 및 검사를 실시하고, 발생하는 문제를 즉각 대처하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4. 환경관리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환경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법규를 준수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업 내부에서 환경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직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환경관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환경관리 업무는 매우 중요하고 복잡한 업무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변화하는 법규와 환경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응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자기개발과 학습이 필요합니다. 환경관리 업무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부분들을 함께 고려하며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사업장에서는 먼지제거를 위한 화학물질 투입해서 설비를 털어주는데 그걸 bag filter라 해서 먼지를 고체화 시키고 자동차는 SCR 장치넣어어 요소수가 화학물질인데 강제로 자동차의 탈질화 시키는 것입니다. 환경 신기술은 탈질,탈황,전기집진기 (bag filter)등이 있고 화학약품투입해서 공정기술 실제 바꿉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네 맞습니다. 국가가 정한 기준을 안 넘게 하는 것이 맞습니다. 자동차를 예를 들면 DPF를 달아서 매연저감을 하는 것 처럼 탈황처리 등을 붙여서 저감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환경신기술이라는 것이 이런 류들을 이용을 하여 저감을 하는 장치를 개발을 하고 발굴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