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HD현대중공업 / 생산관리

Q. 조선업 취업고민 생산관리 vs 설계

안녕하십니까 전기공학과를 나와서 신입으로 조선업(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에 생산관리 혹은 설계로 지원하려고 합니다.
1.생관과 설계중 어느쪽을 추천하시나요? (작은이유도 부탁드립니다)
2.찾아보았을때 생관은 다들 힘들다고 들어오지말라는 부서던데 업무강도가 생관과 설계 비교했을때 어떤지 궁금합니다.
3.생관은 전공지식 보다는 인간관계 관련된 업무를 주로하여 커리어나 경력을 쌓기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이직시 생관이 설계보다 힘들다고 하는데 맞나요? 커리어쌓기에는 설계가 더 좋을가요?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제가 추천드리는 것은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지만, 생산관리와 설계 중 어느 쪽이 더 좋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이는 개인의 성향과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생산관리와 설계는 전혀 다른 업무이기 때문에 어떤 업무가 더 맞는지는 본인이 직접 경험해보고 판단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2. 생산관리와 설계의 업무 강도를 비교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각각의 업무 내용과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생산관리는 생산 계획 및 일정 관리, 재고 관리, 생산 공정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설계는 제품 설계 및 개발, 기술 문제 해결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생산관리는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힘들 수 있으며, 설계는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논리적인 사고가 요구되기 때문에 더 힘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업무의 강도는 회사와 부서, 프로젝트의 규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3. 생산관리 업무에서는 전공 지식보다는 인간관계 관련 업무를 주로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이 업무를 통해 조직 내에서의 커리어나 경력을 쌓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생산관리 업무를 통해 조직 내에서의 역량을 쌓고 성과를 내는 것이 가능하다면 충분히 커리어를 쌓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직 시 생산관리가 설계보다 힘들다는 이야기는 일반적인 경향이지만, 이 업무의 강도와 성격은 회사와 부서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어떤 업무를 더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직무 선택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
학교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1.당연히 설계가 몸이 편하고 해서 낫습니다.
생관 현장 관리 작업자 핸들링 어렵고 사고시 책임소재 피하기 힘듭니다.

2.업무강도 설계가 머리쓰는건 엄청 바쁘고 한데 1번 언급이유입니다.

3.이직은 설계가 좋은게 전기/계장은 육상 플랜트인 화공,발전도 동일합니다. 그래서 이직으로는 좋습니다.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멘티분이 현장일을 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으시다면 생관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설계를 하시는 것을 추천을 드립니다. 생관은 현장일이 대부분이다 보니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이 있습니다.


채택
조급해하지마
코과장 ∙ 채택률 89% ∙
직무
일치

1. 생관 설계 중 어느 직무든 상관없으시다면 본인이 가진 스펙, 역량과 부합한 직무로 추천드립니다. 생관은 타부서와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에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 능력 역시 굉장히 중요합니다.

2. 회사마다 굉장히 다릅니다. 업무강도가 비교적 편한곳도 있고 강한 회사도 있으니 이거는 잡플래닛, 블라인드 등 참고 바랍니다.

3. 명확히 답변드리기가 굉잫이 어렵습니다.. 이거 역시 각 직무마다 모든 제조업에 있어 있기에 둘다 커리어쌓기에 괜찮다고 생각이 듭니다.

결론은, 생관이든 설계든 결국 관련부서와의 협업이 중요하나, 좀더 현장 관련 업무가 많고 현장 지향적인 직무는 생산관리로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추가 질문 댓글 달아주시면 답변 드릴게요.

채택도 꼭 부탁드립니다:)



댓글 0
길잃은전기과
2024.03.18
혹시 신입사원 퇴사율이 높은 직무는 어디일가요?
o
orienta
코사장 ∙ 채택률 70%

설계도 가능하시다면, 설계쪽을 추천드립니다.

생관의 경우, 현장 일도 관련되어 있고. 현장은 교대 형태로 진행이 되지만, 생산 관리의 경우, 교대가 아님에도. 24시간 작업 현장이 진행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일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진행해야하는 스트레스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이 힘들고, 업무 강도가 있다고 표현하기도 하구요.

생관처럼 대인 관계적인 부분으로 더 기술적인 작업자나 협력 업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많이 존재합니다. 설계 같은 부분은 확실한 지식이나, 경험, 전문성을 키워나가기에 좋다는 점에서 커리어 향상에도 더 적합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