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 CJ제일제당 / 연구개발

Q. CJ제일제당 R&D 전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cj그룹 공채를 준비하려는 학생입니다.

BIO R&D 전형에 ‘석사이상우대’라는 문구가 걸려서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과거 모 취업컨설팅 시간에 석사이상우대라고 명시된 모집공고는 석사만 뽑는단 얘기라는 것을 들은 적이 잇어서 지원서를 내야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제가 쓰고 싶은 직무는 proteomics 분야이고 직무역량에는 세포막 단백질 분리 경험과 LC/MS-MS 사용 경험이 잇으먄 도움이 된다고 적혀 잇습니다.

인턴 생활을 하면서 LC/MS-MS 사용경험은 풍부한데 세포막 단백질 분리 실험은 기초적인 원리 정도만 이해하고 잇는 정도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프로테오믹스를 전공하신 석사분들 보다 전공적인 역량은 분명히 부족할 것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기업에서 석사우대공고에 학사를 뽑는다면 무슨 이유로 뽑는 것 일까요? 적은 나이, 연봉에 금방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판단하는 걸까요?

학사로서 극복할 수 잇는 역량 차이인지 현직자 분들의 현실적인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3
채택
멘토31048
코과장 ∙ 채택률 84%

뽑히는 것도 뽑히는 것이지만 들어가 어떻게 버텨낼지도 중요합니다. 석사 우대라고 적혀있다면 내부 구성원도 석사인력이 많을 겁니다. 석사 인력이 우수하다고는 볼 수 없으나 제대로된 논문을 한번 써봤다는 측면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본인이 얼마나 하기 나름이야이긴 하나 상대적인 소외감은 있을 겁니다. 하지만 취업은 기업이 나를 뽑아주는 것인지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업에서 본인의 어떤 점을 매력으로 받아들일지 모릅니다. 학사 출신이 더 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들어가서 부딪쳐보자는 심정으로 도전하셨으면 합니다. 해보고 석사를 다시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구요... 여하튼 하이팅입니다.


채택
휴면계정

현실적으로 제일제당 연구소에 학사가 입사하는 케이스는 극히 드뭅니다. 1-2%정도라고 하더라고요.
석사우대라고 한 이유는 이렇습니다.
석사의 경우 연구과제를 이끌어 나가본 경험이 있습니다. 기업체의 연구소에서도 그런 역량이 요구되고요. 특히나 바이오 연구소의 경우 학문적인 역량이 더 요구되기 때문에 석사우대라고 한 것입니다.
따라서 석사를 이기고 학사가 연구소에 들어가는 케이스는 두가지일 것입니다.
1. 해당 부서에서 학사를 더 우대할 경우
대표적인 예로 패키징센터입니다. 패키징센터는 실제로 석사보다 학사를 우대합니다.

2. 석사보다 더 뛰어난 경험을 보유한자
직접적인 제품개발 경력/자격보유자(제과제빵 경력자)의 경우 특정직무(제빵제품개발)에 석사보다 더 적합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글쓴이님은 이 두케이스가 아니기 때문에 설령 서류 합격하더라도 면접에서 고배를 마실것으로 생각됩니다.


채택
L
Luke1
코차장 ∙ 채택률 71% ∙
회사
일치

개인적으로 짧은 소견으로는 석사이상우대의 경우 대다수가 석사 이상이 지원할 경우가 많으므로 서류에서 다소 불리할 것 같습니다. R&D 면접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전공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질문이 주를 이룰 것이므로 설령 서류에서 통과하더라도 면접시에도 허들이 예상됩니다. 따라서 R&D 직군을 타겟하는 것 보다는 다른 직무를 지원(이건 고민이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하되, 인턴 기간에 배운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지원자들보다 전문성을 어필하면 더 가산점을 받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