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인관계능력의 공적인 부분과 사적인 부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직무 공부 시, 마케팅 직무에서는 대내외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대내적으로는 클라이언트와 관련 이해관계자분들과의 관계가, 내부적으로는 디자이너들과의 친밀한 (?) 관계유지가 업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대인관계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 차이를 무어라 정의내릴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쉽게말해 개인적으로 친구들과 빨리 친해지는 친화력이 좋은 것은 일을 할때 광고주, 관계자들과 빠르게 융화되는 것에 어떻게 도움 되는지? (역량의 다른 차이가 있는 것인지, 혹시 마케팅 실무자 분들께서 실제 실무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해주실 수 있다면 더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ㅠㅠ )
마케터로서의 중요한 역량은 멘티님께서 말씀하신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는데요. 먼저,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기획자인 마케터와 유관 부서 즉, 영업팀, 디자이너, it 개발자 등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진행 방향을 설명해야 정해진 기간 내에 기획자가 원하는 마케팅 방향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제휴 등의 업무를 타 업체랑 진행할 시, 제휴에 따른 효과를 타 업체로 하여금 정확하고 간결하게 제안해야 보다 원활한 마케팅이 가능하며, 해당 마케팅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매출 향상에 기여하는 형태로 보시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201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