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CJ CGV / 마케팅

Q. 대인관계능력의 공적인 부분과 사적인 부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직무 공부 시, 마케팅 직무에서는 대내외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대내적으로는 클라이언트와 관련 이해관계자분들과의 관계가, 내부적으로는 디자이너들과의 친밀한 (?) 관계유지가 업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대인관계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 차이를 무어라 정의내릴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쉽게말해 개인적으로 친구들과 빨리 친해지는 친화력이 좋은 것은 일을 할때 광고주, 관계자들과 빠르게 융화되는 것에 어떻게 도움 되는지? (역량의 다른 차이가 있는 것인지, 혹시 마케팅 실무자 분들께서 실제 실무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해주실 수 있다면 더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ㅠㅠ )

답변 4
채택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멘티님.

마케터로서의 중요한 역량은 멘티님께서 말씀하신 대내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는데요. 먼저,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기획자인 마케터와 유관 부서 즉, 영업팀, 디자이너, it 개발자 등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진행 방향을 설명해야 정해진 기간 내에 기획자가 원하는 마케팅 방향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제휴 등의 업무를 타 업체랑 진행할 시, 제휴에 따른 효과를 타 업체로 하여금 정확하고 간결하게 제안해야 보다 원활한 마케팅이 가능하며, 해당 마케팅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매출 향상에 기여하는 형태로 보시면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자

제가 가장 모호했던 부분이었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ㅠㅠ감사합니다!!!


채택
멘토54526
코대리 ∙ 채택률 75%

07년 CJ CGV 마케팅으로 입사해 5년간 일을 해보았던 경험으로 말씀드리자면 단순하게 유관된 부서와 소통하는 것 외에도 코스트 센터인 마케팅 특성상 작게는 경영관리, 재무팀과 협의가 유연해 질 수 있으며, 크게는 경영진(큰 비용이 소요되는 마케팅 캠페인 등)께 보고를 하거나 이후 진행되는 과정에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행사, 협력사와 계열사 공동작업 등 여러 업무를 해야하는 특성상 대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는 인재에게 유리한 직무가 마케팅은 확실하죠!


채택
목표가되는삶을지향
코차장 ∙ 채택률 88%

친구들과의 친화력과 업무상의 친화력과는 비슷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분명 다릅니다. 친구들과는 비슷한 환경에서 살기도 하고, 서로 이해관계가 상충되지 않기 때문에 편하고 쉽게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만, 회사에서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에는 상대방을 이해하고 배려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멘티님이 마케팅 담당자라고 가정해보면.. 마케팅 담당자는 최대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홍보를 하는 것이 Goal이 될 수 있습니다. 즉 Resource를 많이 필요로 하겠죠.. 하지만 HR은 인력 효율화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경영기획은 예산의 효율성/적정성을, 디자인 부서는 디자인 그 자체의 완성도를, 개발 부서는 개발이 가능한 스펙인지 여부등을 Goal로 가져가게 됩니다. 전사적인 관점에서는 목표가 같을 수 있겠지만, 각 부서별로 Depth있게 들어가보면 Goal이다르기 때문에 의견 충돌이 발생하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측면 때문에, 전사 Goal 달성을 위해 각 부서들 간에 충돌을 최소화 하며 협업을 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 부서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합니다. 대화를 많이 해보고,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서로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현실적인 내용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