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 GS파워 / 모든 직무

Q. GS파워 2차 면접

이번에 2차 면접을 보게 되었습니다
1차 면접처럼 직무 / 인성 나눠서 보는지
아니면 합쳐서 보는지 궁금합니다
각각 난이도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6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GS파워의 2차 면접은 일반적으로 직무 면접과 인성 면접이 결합되어 진행됩니다. 면접의 구성은 회사의 정책이나 해당 연도의 채용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는 면접 일정에 대한 안내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난이도에 관해서는, 1차 면접보다 2차 면접이 더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직무 관련 질문은 지원자의 전문성과 경험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성 관련 질문은 지원자의 가치관과 조직 적합성을 판단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준비를 철저히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합쳐서 본다고 생각을 하시면 되며, 2차의 경우에는 직무보다는 인성위주로 질문이 들어오며 그 근거는 멘티분이 기 제출한 자소서를 기반으로 들어옵니다. 임원분들의 경우 압박면접을 잘 하지 않으니 1차보다는 편안한 분위기가 될 것입니다.



댓글 0
솔레노이드1
2024.12.16
감사합니다 !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직군은 모르겠지만 기존에 나왔던 질문 종합해서 드립니다.

1.밸브의 종류에 대해 아는데로 답해보고 생산기술에 기여할 부분은?
2 esg 경영과 화력발전에너지 사업의 기로에 선 지금 우리가 가야할 방향은?
3 탄소 중립이 무엇인가 직무를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4 GS파워의 인재상이나 가치에 어떤점이 본인과 부합?
5 현장에 나갈수도 있는데 현장근무도 가능한가?
6 우리 GS파워가 가진 현재 이슈는 무엇인가?
7 우리 GS파워가 미래먹거리 산업과 나아갈 길은
8 보통 주변인과 의견 차이가 있을 때 어떻게 하는 편인지9 평소 주변에서 어떤 사람이라고 평가 받는가?
10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시장 논리에 맡겨야 하는지, 정부의 규제가 필요한지?
11 이번에 면접에서 떨어졌다면 그 이유는?
12 우리 회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13 왜 본인을 뽑아야 하는가? 관심 있는 사회문제는 무엇인가?
14 향후 자기계발은 어떤 걸, 어떻게 하고 싶은가
15 미래 산업의 방향과 GS파워 미래 무슨산업으로 발전할까?
16 학점이 다른지원자에 비해 낮은 편인데 그 이유는?
17 현장에 나갈수도 있는데 현장근무도 가능한가?
18 회사의 생산라인에 안전 기준에 대해 알고있나요?
19 우리 회사의 경쟁사는 어디라고 생각하는가?.
20 GS파워의 기존 사업에 대해 말해보세요.


콰다
코상무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직무/인성 나눠서 보는 것이 아니라
임원분들이 종합면접 형태로 한번에 본다고 보시면 됩니다.
왜 이 회사에서 근무하고 싶은지, 조직 적응력은 괜찮은지, 오래 머물며 회사에 녹아들 수 있는 사람인지 등 고민해보시고 들어가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다만 임원 면접이 인성 위주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멘티님께 어떤걸 물어보고 싶은지는 임원분들의 마음이기 때문에 직무 쪽으로도 조금은 마음의 준비를 하고 가시면 좋습니다.
(최소한 회사에서 하게될 업무는 어떤 것이고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지식)
GS그룹 자체가 대인관계에 원만하고 둥글둥글한 사람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 부분 고려하셔서 접근하시면 좋습니다.


랄랄라아이티
코상무 ∙ 채택률 100%

둘 다 본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직무/인성을 난이도로 나누는 건 좀 어렵고, 결국 면접관의 성향에 따라 면접의 난이도가 달라집니다. 압박을 하시는 분은 좀 어려운 편이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면접을 이끌어가는 면접관이 나오면 좀 편하죠~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2차에서 직무면접은 따로 없고 온리 인성입니다.
아무래도 연배가 있는 분들이 들어오는 임원면접이라 분위기가 다소 무겁고 보수적입니다. 인성면접 위주라 아무래도 인성위주의 질문들이 주를 이루는데 대표적으로 멘티님이 가진 가치관, 인생관, 직업관,성향(장단점), 조직융화력등이 대표적인 질문들이니 참고하세요.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