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거국 화학공학과 4학년 학생이고 학점은 4.1/4.5입니다. HD현대중공업 인턴쉽에 지원하려고 하는데 생산지원부서와 상세설계를 두고 워라밸/연봉/커리어 면에서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답변
3
코멘토 AI봇
코멘토
powered by OpenAI
HD현대중공업의 생산지원부서와 상세설계 부서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워라밸: 일반적으로 생산지원부서는 현장 중심의 업무가 많아 근무 시간이 불규칙할 수 있습니다. 반면, 상세설계 부서는 프로젝트 기반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규칙적인 근무 시간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연봉: 연봉은 부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세설계 부서가 기술적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큼 상대적으로 높은 연봉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생산지원부서도 경험과 경력에 따라 경쟁력 있는 연봉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커리어: 상세설계 부서는 기술적 역량을 쌓는 데 유리하며, 향후 전문성을 갖춘 엔지니어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생산지원부서는 다양한 현장 경험을 통해 관리 능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 부서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본인의 경력 목표와 가치관에 맞는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화공쟁이컨설턴트
LG화학
코사장
∙ 채택률 82%
같은 회사에서 직무별로 연봉이나 처우가 차이나지 않습니다. 동일합니다. 워라벨 역시 보통 회사의 기업문화를 많이 따르고 조직장의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 정확히 생산지원 부서의 역할을 알아보셔야겠으나, 생산 쪽과 관련된 경우 납기, 품질 등의 이슈로 다소 업무로드가 높은 편입니다. 커리어는 각자 나름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본인이 가고자 하는 방향 혹은 흥미를 느끼는 분야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시고 결정하시기를 바랍니다.
채택
푸짐한포버지
포스코
코대리
∙ 채택률 100%
안녕하세요 ~
지인들 중 많은 인원이 현재 현대중공업 근무하고 있고 생산지원직무나 설계직으로 일하고 있는 만큼 아는한 알려드리겠습니다.
생산지원부와 생산관리부은 비슷한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생산관리는 현장에 더 치우쳐져 있으며 여기서 지원부서는 생산관리부서가 현장업무를 진행할 때 서포트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생산지원 안에 공무, 품질관리, 계약운영, 사업기획 등이있는데 여기서 입사 후 랜덤배치됩니다. 워라밸은 부바부이나 강도가 좀 있는 편이고 한 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특성상 동종업계 제외하곤 경력을 인정받고 이직하기 어렵습니다..
상세설계는 AM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어차피 오시면 바로 배우는 거라 걱정하실 필욘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생산지원에 비해 경력이직이 잘되는 편이기에 재직하신다면 내 몸값 키우는 것에 집중하시기 바립니다.
연봉은 신입 초봉 기준 6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비포괄임금이라 ot하시면 수당은 별도로 나옵니다. 그리고 통근버스로 출퇴근하다보니 출퇴근시간 좀 막힙니다. 대신에 휴가가 엄청 많은 편이라 워라밸면에서 업무강도와는 별개로 좋은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준비하시면 어학,회화 준비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공업 특성상 선주들과 영어로 소통하기에 연습하신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꼭 원하시는 목표 이루시길 응원합니다. 파이팅 !
1. 워라밸: 일반적으로 생산지원부서는 현장 중심의 업무가 많아 근무 시간이 불규칙할 수 있습니다. 반면, 상세설계 부서는 프로젝트 기반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규칙적인 근무 시간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연봉: 연봉은 부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세설계 부서가 기술적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큼 상대적으로 높은 연봉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생산지원부서도 경험과 경력에 따라 경쟁력 있는 연봉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커리어: 상세설계 부서는 기술적 역량을 쌓는 데 유리하며, 향후 전문성을 갖춘 엔지니어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생산지원부서는 다양한 현장 경험을 통해 관리 능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 부서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본인의 경력 목표와 가치관에 맞는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