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KB증권 / 전략기획

Q. 비전공자 금융권 전략기획 분야 희망합니다

안녕하세요!

증권사 백오피스(본사관리, 전사관리) 업무 중에서도 전략기획 생각하고 있습니다.
금융권 경험이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내년에 신입 공채 가능성이 있을까 여쭈고 싶습니다.

일단 저는 금융과 전혀 상관없는 전공이며 현재 비금융권 해외사업관리직으로 최합한 곳이 있습니다.
자격증 준비는 회사 다니며 할 수 있겠지만 RA, 인턴 경험 없이 괜찮을까 싶어서요...
증권 쪽으로 진로 희망 확고하다면 최합한 곳을 포기하고 관련 인턴에 지원하는 것이 맞을까요?

1) 관련 인턴 합격하면 그만두고 인턴 하면서 신입 준비
2) 인턴 도전 없이 회사 다니며 신입 준비

이렇게 두 가지 방안으로 생각 중입니다.
정규직을 포기하고 인턴을 할 만큼의 메리트가 있을까요?

아니라면 2 선택해서 비금융권이어도 관리직이기는 하니 관련성 있는 업무로 최대한 경험을 살려서 중고신입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을 지... 선배님들 어떻게 생각하실런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금융권 전략기획 분야에 대한 관심과 진로 고민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신입 공채는 금융권에서 비전공자에게도 기회가 있을 수 있으나, 경쟁이 치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증권사 백오피스와 같은 특정 분야는 관련 경험이나 자격증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비금융권에서 해외사업관리직으로 최종 합격한 상태라면, 해당 직무에서 얻는 경험이 전략기획 업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턴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두 가지 방안을 고려하고 계신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1. 인턴 합격 후 그만두고 인턴 하면서 신입 준비: 인턴 경험은 금융권 진입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실제 업무를 통해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규직을 포기하는 것이므로, 안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인턴 도전 없이 회사 다니며 신입 준비: 현재 직무에서 얻는 경험을 통해 금융권에 필요한 관리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자격증 취득과 함께 관련 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규직을 포기하고 인턴을 할 만큼의 메리트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인턴 경험이 금융권 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현재 직무에서의 경험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비금융권에서의 관리직 경험을 살려 중고신입으로 준비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본인의 경력 목표와 상황을 고려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쫑롱롱
코차장 ∙ 채택률 84%

안녕하세요,
취업 준비로 고생 많으십니다.

우선 합격한 다니시면서 신입준비하시는게 더 나을것 같습니다. 특히 전략기획과 해외영업은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협력,소통 역량 베이스로 프로세스를 이해해야되고 유관부문/고객과 영업을 통해서 사업확장, 개선, 매출을 창출해야합니다.(큰 그림 기획 및 운영단계까지 계획해야됨). 따라서 산업이 다르더라도 해외영업에서 안에서 고객중심적인 사고, 프로세스 이해력과 관련된 역량 함양, 프로젝트성 업무도 있을것이므로 상당히 성장할 기회입니다. 그런 경험을 활용해서 자소서,면접도 잘 풀어서 전개한다면 합격할 확률/ 중고신입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가 더 커집니다.

화이팅입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도 부탁드려요 ^^



댓글 0
ㅏㅓ머도도보
2024.12.20
오오 네 전략기획에 살릴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고 생각하는 것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좋은 예시 구체적으로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4103
코이사 ∙ 채택률 79%

당연히 정규직 포지션을 먼저 다니셔야 합니다.
전략기획은 신입 공채가 열릴지 안열릴지 언제 열릴지 불분명하고, 다녀보면 전략기획 직무에 대한 생각도 달라질겁니다. (환상과 현실)

그리고 전략기획을 한다고 하더라도 경력이 훨씬 유리합니다.



댓글 0
ㅏㅓ머도도보
2024.12.20
그렇군요... 전략기획 쪽은 신입을 잘 안 뽑는 편인가요??ㅠㅠ
탱자탱자
코부장 ∙ 채택률 65%

정규직을 포기하겠다는건 한마디로 명문대 합격을 포기하고 꽂힌 전공을 따라 많이 레벨이 많이 떨어지는 대학에 입학하겠다는 거랑 똑같은 상황입니다.

뭐...사람 앞날 모르는거니깐 그런 선택을 한 경우가 드물기는 하지만 있기는 있죠

다만 아마 대부분은 주변에서 필사적(?)으로 말릴겁니다.

뭐..그 이유는 뻔히 다들 잘 알고 있어서 굳이 더 언급하고 싶진 않네요.



댓글 0
ㅏㅓ머도도보
2024.12.20
그정도이군요... 솔직한 의견과 좋은 비유 감사드립니다!!
4103
코이사 ∙ 채택률 79%

현실적으로 말씀 드리면, 일단 입사하신 다음에 생각하셔야 합니다. 포지션의 경중과 관계없이 인턴과 정규직은 비교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략기획은 이미 질문자님도 인지하고 있듯이, 경험과 경력이 필요합니다. 좋은 회사에서 ra나 인턴을 하더라도 현업 경험과는 비할바가 아닙니다. 입사 후에 1) 취업을 준비하거나 2) 사내에서 직무 전환 등의 길이 있으니 잘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전략기획 업무에 대한 생각은 실제로 직장생활을 해보면 달라지게 됩니다.

어쨌든 어려운 시기에 취업하신 것을 축하드리며
좋은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