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LG화학-전지사업본부-생산기술
Q. LG화학-전지사업본부-생산기술
LG화학-전지사업본부-생산기술 직무의 상세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 생산
2.생산관리
3.공정기술
LG화학은 채용시에 전공을 통해서 얻은 역량으로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직무에 어떻게 연결해서 어필할 수 있느냐 또한 거기에 준비된 모습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본다고 합니다.
화학공학을 전공한 학생으로써 1,2,3 중 어떠한 곳에 초점을 맞추고 어떤 전공 공부를 통해 해당 직무를 잘 이뤄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LG화학 전지사업부문 채용시로생산기술과 SCM은 따로 뽑는데, 여기서 SCM이 생산관리로 알고있는데 왜 생산기술 세부사항에 생산관리가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즉, 제가 LG화학 생산기술(생산, 생산관리, 공정기술)부서에 들어가서 LG화학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일이 전공 역량 측면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추가적으로 모 제약회사 GMP공장에서 생산/생산관리 직무를 인턴활동을 했던 적이 있습니다.)
생산관리는 demand plan을 가지고 공장측면의 생산계획을 수립/관리, 원자재 조달, 대개 창고보관까지 챙기게 됩니다.
SCM RnR 이 clear한 경우, SCM은 forecasting/planning, CS, inventory management, warehousing, distribution까지를 담당하고 SnOP라는 명목으로 생산관리와 여러부문에서 link가 생깁니다. 엄연히 다른 주제입니다.
생산관리가 생산스케쥴관리, 원자재 수불관리쪽 포커스라면,
공정기술은 생산활동, 개선, 신제품등 보다 기술적인 측면의 엔지니어링 부문을 포커스하고
생산은 정해진 생산공정에 따라 생산/양산에 포커스라고 보시면됩니다.
본인이 원하는 분야가 있으실겁니다. 어느쪽일이 더 맞으십니까? 고민해 보시고 본인의 career path를 그려보세요.. 뭘배우고, 뭘 경험해서 무슨 코스를 밟아 나가면 좋겠다... 이런 road map이 나오면, 그에 맞추어 스토리 텔링을 만들어 보시면 충분히 면접관들을 어필할수 있으실겁니다.
멍하니, 뭐든지 시켜만 주세요!와는 완전히 차별화 되겠지요... 해당지원회사의 제품군과 제조공정을 알면, 더 구체적인 로드맵이 나오겟지요. 무엇을 공부했고, 어떻게 적용할수 있을거고.. 이러면 바로 뽑고 싶지 않을까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2019.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