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LS 일렉트릭 / 생산

Q. [ls산전] 설계, 생산

안녕하세요 이번 2020 하반기 ls산전 공채에 지원할 예정입니다.
학점은 3.8이고 토익870, opic IH, 전기기사 자격증이 있고 matlab, plecs, pspice 등을 다뤄봤습니다.

설계 - 전력 - 전기전자

생산 - 연구개발 - 신뢰성

이렇게 두 분야 전기전자전공인 학사 출신으로서 지원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두 직무에 대해서 어떤 업무를 맡게 되는지, 또 거기에 필요한 직무역량을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좀더 질문을 구체화 드리자면

1. 설계-전력-전기전자 에서는 저압,고압, 초고압 중에 주로 어떤 설계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저는 연구개발에서 제품을 개발한 이후에 양산이 되면 그 이후에 대응하는 팀이 설계팀으로 알고 있는데 R&D 연구개발이 아닌 생산직무에서 따로 연구개발을 뺐다는 건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다르다는 것 같은데 많이 궁금합니다.

답변 2
채택
R
R&D
코부장 ∙ 채택률 88%

1. 1차 면접 때 저압, 고압, 초고압중에 본인이 어떤 부분을 좋아하고, 어떤 제품을 좋아하는지를 물어봅니다. 그러면 각 팀의 팀장님이 Pick하게 되죠. 어느 팀의 TO가 얼마나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지만 그냥 운인 것 같습니다. 주로 저압 쪽이 국내에서 점유율이 높기 때문에 저압 쪽 설계가 탄탄하며 주력입니다.

2. 생산직무쪽도 연구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생기/소재연구센터 라고 센터가 5년여 전에 만들어져서 생산직무에서 따로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직무역량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서로 다른 일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연구소에서 개발을 하면 설계팀에서 양산대응을 합니다.


선배
코차장 ∙ 채택률 73% ∙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멘티님~
1번은 본인이 선택하시면 됩니다^^
2번도 생기/소재연구센터 라고 센터가 4년여 전에 만들어져서 생산직무에서 따로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직무역량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좋은결과 있으시길~~!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