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LS엠트론 / 설계

Q. 기계설계 직무 취준생입니다

하위권 지거국, 농업기계공학과, 컴공복전, 학점 3.48, 일반기계기사, 토익 885, 여자입니다. 휴학 2년 했고, 1년은 공무원 준비, 1년은 기사,토익,취미(마라톤 하프), 국내여행다녔습니다. 지금은 5학년 1학기(막학기)다니면서 취준 중입니다.
1. 긴 휴학기간이 서류합에 큰 문제가 될까요?
2. 설계직무로 자소서 쓰는 중인데 직무관련경험이 특별하지 않아서 고민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유압,공압기기 부품/칠러/공기정화기/냉동기 설계이구요.
-에너지시스템 관련 실험실(6개월) : 주로 ANSYS공부
-바이오가스 실험실(1년) : 졸업논문(바이오가스)때문에 들어갔고 논문발표 대상
-그밖에 설계 프로젝트, 설계수업 멘토링 경험(CAD,SOLIDWORKS강의), 3D프린터 교육(solidworks,cad툴+3d프린터에 대한)받고 아이디어 시제품 제작
-복전에서 졸업작품 만든경험(아두이노 이용한 어플제작)
설계 직무 관련해서 너무 쓸게없어 자괴감까지 듭니다. 냉철한 판단 부탁드립니다.

답변 3
채택
취업신신
코사장 ∙ 채택률 83%

안녕하세요 멘티님.
1. 학점은 평균이지만 기사자격증으로 충분히 커버가능하십니다.
2. 토익성적 우수하십니다. 스피킹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토스6 or 오픽IM2 이상은 취득하셔야 영어 불이익 없습니다.
3. 여성분이셔서 공백기 크게느껴지지 않을 겁니다. 그리고 자소서 작성시 남자에게 뒤쳐지지 않을 체력이 있다 근거는 마라톤으로 작성하시면 되겠네요.
4. 해오셨던 이력을 보니 설계직무로 충분하고도 넘치는 경험이 많으시네요. 그리고 걱정 안하셔도 될게 취업하시면 수습기간동안 체계적으로 교육해주니 일단 경험을 기반으로 어필하시면 됩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도전하세요. 충분히 합격가능합니다.


채택
R
R&D
코부장 ∙ 채택률 88%

1. 긴 휴학기간동안 무엇을 했는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것을 느꼈고 따라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스토리를 만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괜찮습니다. ㅎㅎ 그 중 직무와 가장 관련있는 스토리를 준비해 보세요! 어차피 회사 들어가면 다시 처음부터 배웁니다.


채택
멘토킹
코차장 ∙ 채택률 80%

안녕하세요 멘티님 스펙이 사기업 가기엔 아까워서(?) 공공기관 채용 전반에 대해 설명드리니 아래내용 한번 읽어보시고
공기업으로 노려보길 추천해요

공기업과 사기업(대기업)의 차이는 출발부터가 다른데요.

1. 자소서
사기업(대기업)은 자소서가 중요하기에 학벌, 학점, 각종 경험(공모전,봉사활동,인턴,알바 등)과 스피킹점수가 중요한 반면에, 공기업은 그냥 필기가 중요해요. 이것저것 잡다한거 필요없어요. 물런 공기업도 자소서 쓰긴하는데 거의 뭐 형식적이죠. 공기업은 채용과정에 있어서 투명성과 공정성을 유지해야 하기에 자소서와 같은 주관적인 항목으로 사람을 평가하진 않거든요.
단, 공기업 자소서는 서류전형과 면접에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순 있어요. 활용도가 사기업에 비해 낮다는거지 쓸모없단 뜻은 아닙니다.

2. 자격증(스펙)
특히 산업인력공단, 상공회의소, 국사편찬위원회 등의 공공기관이 발행하는 자격증을 주로 인정하구요. 서류통과 다음 필기를 봐야하는데 필기를 보기위해선 서류를 통과해야하고 보통 사무직(행정직)지원자들의 평균 스펙은 토익850이상+한국사1급+정보처리기사 또는 컴활1급, 기술직은 토익800이상+해당직렬 필수 기사(공고에 명시됨). 기술직은 토익이 낮다면 한국사1급이나 전산자격증으로 커버를 해야겠죠. 스펙이란 균형을 맞추는거라서요. 영어가 낮다면 다른걸로 커버하면되요. 단 사무직은 토익850이상 추천합니다. 아직까지 사무직은 토익 많이 보거든요

3. 비슷한 점?
그나마 공기업과 사기업의 채용에서 유사점은 공기업의 필기시험에서 최근에 NCS라는 과거 직무능력평가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도입됬어요. 대기업의 직무능력검사와 비슷하면서도 다릅니다. 서점에서 책을 한번 훑어보세요. 아이큐테스트 같은개념인데 그렇다고 선천적인 머리로만 푸는건 아니니 너무 겁먹진 마시구요

4. 기타 사항.
또한 사기업은 지원시에 본인의 전공이 중요하지만 공기업은 직렬이 중요해서 사실상 대학에서의 전공은 큰 의미없어요(공무원처럼 행정 회계 법학 건축 토목 이런 직렬이 중요하단 얘기). 본인의 전공이 공고의 직렬에 표기가 안됬다면 행정으로 지원하면 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