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소서 · SK바이오팜 / 공정관리

Q. 제약회사 -공정개발 직무 자소서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공정개발 직무 자소서 작성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자소서에 TPP나 CQA와 같은 표현을 작성하고 싶은데 full name 없이 약어로만 작성해도 괜찮을까요? 혹은 한글로 변환하여 작성하는 게 좋을까요?

사소하지만 물어볼 곳이 없어 질문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5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소서에서는 약어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full name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해당 약어를 모르는 인사담당자나 전문가가 있다면, 해당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신이 사용하는 약어가 정확한 것인지, 다른 의미로도 사용되는 것인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TPP나 CQA와 같은 약어 대신, "Trans-Pacific Partnership" 또는 "Certified Quality Auditor"와 같이 full name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러한 용어를 자주 사용해야 한다면, 첫 번째 사용 시에는 full name을 작성한 뒤 그 이후에는 약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자소서에서는 가능하다면 한글로 작성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외국어를 사용할 경우 오타나 문법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글로 작성하고 싶은 경우, "TPP(Trans-Pacific Partnership)"나 "CQA(품질감사사)"와 같이 full name을 먼저 작성한 뒤, 이후에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자소서 작성 시에는 항상 자신의 이해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작성한 내용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해가능한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를 항상 고민하며 작성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니꿈은뭐니
코사장 ∙ 채택률 86%

약어로 작성하셔도 무관하긴 한데 친철하게 각주어로 풀네임을 마지막에 적어주시는 센스도 좋습니다.


채택
남양연구소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약어로 써도 알아들을 수 있다면 괜찮습니다.
TPP CAA 로 적어도 돼요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채택
신뢰의마부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target product profile 과 Critical Quality Attributes는 축약어로 해도 약어 용어라는것을 알기에 함축어 쓰셔도 됩니다.


채택
바이오선배
코과장 ∙ 채택률 73%

굳이 풀어쓰지 않아도 됩니다. TPP, CQA는 비슷한 약어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해당 직무의 사람이 본다면 다 알아볼 것 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