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에서 연구 혹은 품질관리 직무 희망합니다.
저는 서울 중(상)위권 4년제 화학과를 25년 2월에 졸업 예정/ 성적: 4.27(4.5)/ 어학: 토스 IM3/ 환경 관련 캠페인 참여 경험, 환경 관련 연구소에서 기후적응, 변화에 대한 자료 조사하는 학생 인턴 경험/ 전공: 전공 수업 중 유기 금속과 합성관련 수업 선택하여 수강, 유기 실험 중 용매추출 실험 경험 유/ 관련은 없지만 바이오 센서 제작 대회 참가 및 수상/ 화학 분석기사 자격증
화학과에 입학 할때부터 막연히 제약, 향료 쪽으로만 진로를 희망하다 여러 고민한 후 최근에 배터리 분야에서 폐건전지를 용매추출을 통해 회수하여 리사이클하는 분양 관심이 생겨 관련 연구 혹은 품질 관리 직무쪽으로 상반기에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하지만 관련 실무 경험이 적어 어디서 채우면 좋을지, 많은 교육 중 어떤 교육이 가장 도움이 될지, 실무 경험 외에 필요한 자격증이 무엇이 있을지, 알아두면 좋을 사이트가 무엇일지, 영어 성적 보강이 필요할지 등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실무 경험: 관련 분야의 인턴십이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화학 분석 및 품질 관리 관련 인턴십을 통해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2. 교육: 화학, 환경공학, 재료공학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나 워크숍에 참여하는 것이 유익합니다. 특히, 리사이클링 기술, 화학 분석 방법, 품질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자격증: 화학 분석기사 외에도 품질 관리 관련 자격증(예: ISO 9001, Six Sigma 등)이나 환경 관련 자격증(예: 환경관리사)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격증은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정보 사이트: 관련 산업 동향, 연구 결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로는 한국재활용사업공제조합,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환경공단 등이 있습니다. 또한, LinkedIn과 같은 전문 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해 업계 전문가와 연결하고 정보를 얻는 것도 유익합니다.
5. 어학 능력: 영어 성적은 국제적인 연구 및 협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술 문서나 연구 자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영어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영어 성적을 보강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언을 바탕으로 준비하신다면, 원하는 직무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