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 C&C / 시스템 엔지니어링

Q. SK C&C 기준 - System Engineering 직무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산업공학과를 전공중인 4학년 학생입니다.
산업공학과에 진학하게 되면서 특히 스마트팩토리와 시스템 관리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저희 학과에서는 IT분야와 시스템또는 스마트팩토리 관련 내용을 자세히 다루지 않았고
Industry 4.0 등의 책이나 관련 칼럼 등을 조사해보고 SK C&C 홈페이지를 봐도
무슨일을 하며, 시스템 엔지니어 직무를 위해 어떤 지식이나 경험이 필요한지 알기 어려웠습니다.

제가 SK C&C 기준 - System Engineering 직무에 지원을 하기위해 남은 1년간 준비를 하는데있어
1. 이 직무는 만약 신입사원으로서 입사하게 된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지
2. 이 직무에 지원하기위해 필요한 지식이나 경험
(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언어라던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관련 전공지식이나 업무지식 등)
3. 현직자 분들과 잘 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팁

이 부분들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답변 3
휴면계정

1. 신입사원으로 입사하게된다면 cloud 컴퓨팅 서버 또는 사내 서버 운영을 하게됩니다. 단순 운영으로 시작해 시스템고도화/자동화 등을 진행하게 되겠죠?
2. 시스템엔지니어?
linux/windows server 와 같은 서버 os에 대한 지식과 서버 운영 경험, 네트워크 엔지니어링(7layer를 모두 아울러) 기초적인 지식이 있어야합니다.
추가로 c 또는 python 과 같은 스크립트 언어중 하나 이상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겠습니다.
3. 2번에서 말한 기본 지식이 있어야겠고, 내가 무조건 옳다는 생각으로 커뮤니케이션하지 않아야합니다. 소통을 잘하는 방법이란게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멘토48380
코대리 ∙ 채택률 66%

저는 SI업계는 아니지만 스마트 팩토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예전 RFID가 나왔을 때 바코드를 다 대체할 것이다는 말을 많이 했었죠. RFID 칩을 반제품 혹은 이동 상자 같은데 부칙하여 생산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인데, IoT가 많이 뜨면서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제작 기계를 원격으로 조정한다던지 하는 식으로 활용해보겠다는 내용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스마트 팩토리와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아직 구체적으로 정의된 바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정의도 안된 분야에 회사들이 직접 투자를 하고 물건을 팔지는 않겠지요. 따라서 C&C의 System Engineering 직무 공고에 스마트팩토리 System Engineer 채용이라 표현되어있지 않을 경우 네이버 멘티님이 말씀하신 직무가 맞을 것 같네요.


채택
휴면계정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일단 관심있으신 스마트팩토리와 시스템엔지니어는 좀 차이가 있을것입니다. (신입으로 스마트팩토리를 하는 분야를 찾아가기는 제 생각에는 거의 힘들것 같네요ㅠㅠ)

시스템엔지니어는 기본적으로 리눅스/유닉스와 같은 os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서버/서비스를 구성하는 엔지니어를 말하는 편이지만 그외 네트워크 엔지니어, 데이타베이스 엔지니어, was엔지니어등을 통틀어 말하기도 합니다. 요새는 클라우드로 많이넘어가서.. 저중에 여러가지를 한명이 담당할수 있기도하구요. 프로그래머보다는 코딩을 요하지않지만 어느정도의 실력은 요새는 필수입니다. DevOps에 대해 한번 찾아보시면 좋겠네요.

지식이나 경험으로는 모의해킹정도가 좋은 예시일것 같습니다. os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코딩능력이 필요하니까요.

그리고 sk cnc의 경우, 고객사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업무가 많습니다. 현직자들과도 고객들과도 잘 소통하려면 일단 잘 들어야합니다. 잘듣고 원하는바를 정확히 파악해서 가능한 그에 맞는 핀포인트 답변을 하신다면 더 바랄게 없겠습니다.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