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케미칼 / 생산관리

Q. SK케미칼 생산관리 직무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이번에 울산공장 생산관리 지원하려고 합니다.
[생산 기술 담당]
- 품질 QC/OE
- 외주 임가공 관리
- ISO, PSM, TEST 업무
이렇게 홈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1. SK케미칼 울산공장은 생산관리자가 생산기술직무랑 생산품질 직무 모두 다 수행하나요 ??
2.위의 3가지 항목들 각각 어떤일 하는지 간단하게 알고 싶습니다. 또한, 이 업무들을 잘하기위해서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답변 2
채택
사막늑대에
코과장 ∙ 채택률 78%

안녕하세요 멘티님,

1) 생산기술 담당이라고 명시되어있지만, 업무내용은 품질 직무입니다. 모두 수행하는게 아니라 품질직무를 수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2) 품질관리, 외주처 품질관리, ISO 인증관리, PSM 관리, 각종 TEST관리 업무라고 볼수있겠습니다.
메인은 품질관리라고 보여집니다. 품질관리의 기본은 원칙입니다. 조금만 틀려도 품질 부적합을 인정할수있는 자세가 필요하고 적합으로 전환하지 않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원칙을 중요시하고 눈에 칼이들어와도 소신을 굽히지 않는 심성이 필요합니다.

좋은결과있길바라겟습니다.


채택
오버더SKY
코사장 ∙ 채택률 89%

안녕하세요 석유화학사 생산부서 현직자입니다.
1. 회사마다 생산관리 생산기술 기술 생산 등 업무는 같으나 부르는 명칭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 또한 비슷한 케이스로 여겨집니다.
다운스트림으로 갈수록 생산부서의 업무가 품질 업무와 관련이 있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직무 설명에도 품질관리가 많은 것 같네요.
2. QC는 Quality Control 즉 제품의 품질 관리가 주 업무이며 품질 트러블 발생 시 주무부서로써 문제의 해결점을 찾고 고객사와 대응하는 업무를 하게 됩니다.
외주 임가공 관리는 단어 그대로 외주사가 생산하는 제품 관리로써 제품 품질 문제 발생 시 역시 적극대응해야 합니다.
마지막 ISO PSM 등은 인증관리가 되겠습니다.

먼저 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력 및 고객 대응능력이 가장 큰 역량이 되겠으며, 흔히 알고 있는 꼼꼼함 역시 하나의 능력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품질 관리를 위한 지시와 협조를 구하기 위해 적당한 무게감 또한 갖추면 좋겠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