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SK하이닉스 / 공정기술

Q. Q. photolithography 시 development time, exposure time 조절 따른 ADI-CD변화

안녕하세요. 최근 반도체 공정실습 진행 중 photolithography를 진행했습니다. 실험은 1) development time 2) exposure time 따른 ADI-CD 측정을 따로 진행했습니다. Positive PR을 썼고, CD는 공정을 마치고 남아있는 PR패턴의 CD로 정했습니다.

현상 시간 증가 -> 타겟 CD - 결과 CD 평균 증가(+), 산포 감소
노광 증가 -> 타겟 CD - 결과 CD 평균 증가(+), 산포 감소

1. target CD가 100um이고, 예를 들어 노광, 현상 시간 증가에 따라 96(산포 1)->94(산포 0.6)->92(산포 0.5) 로 타겟과 평균값이 멀어지면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최선일까요?
2. 보통 노광 시간 조절로 CD를 조절한다고 해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3. 노광, 현상 시간 따라 CD 평균의 감소폭이 비슷하더라고요. 마스크로 빛이 도달 안한 부분도 현상액에 크게 반응하는거면 다른 현상액을 쓸 수도 있을까요?

답변 4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1. 타겟 CD와 평균값 간의 차이가 커지는 경우, 현상 시간이나 노광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최선인지 여부는 실험의 목표와 공정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CD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최적의 공정 조건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여러 조건을 조절하여 실험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노광 시간 조절로 CD를 조절하는 이유는 노광 과정에서의 빛의 노출 정도가 PR의 경화 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노광 시간이 길어질수록 PR이 더 많이 경화되어, 결과적으로 패턴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PR의 특성과 사용된 마스크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노광 및 현상 시간에 따른 CD 평균의 감소폭이 비슷한 경우, 이는 PR의 반응 특성과 현상액의 화학적 성질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마스크로 빛이 도달하지 않은 부분이 현상액에 반응한다면, 이는 PR의 특성이나 현상액의 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른 현상액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PR의 특성과 호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채택
하이닉스_HBM
코차장 ∙ 채택률 70% ∙
회사 학교
일치

노광 파장 및 시간에 따라 CD 값에 당연히 노출 시간 차이로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현상액을 바꿔보는게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채택
r
reinheart
코차장 ∙ 채택률 62%

2 annealing 가능성이 높아요 cd 가 낮아집니다
3 타 현상액 쓰죠 pos 나 neg 도 다 달리 쓰구요

1 타겟과 평균값 멀어지면 시간 감소가 최선일겁니다 타 변수는 온도가 되겠네요


채택
엔지니어멘토
코전무 ∙ 채택률 83%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1번처럼 결과가 나왔다면 시간 줄이는게 방법이 맞습니다. 잘 판단하신겁니다.
노광시간이라는게 결국은 Exposure 진행하는 총량에 영향을주기에 이걸로 인해 CD 영향을 받게되기에 이로인해 CD 조절을 합니다.
빛이 도달했기에 반응을한것이고, 그 영향차이는 충분히 반응을 했는가에 따라 달라지기에 Exposure Time이 영향을 주는것으로 이해하시면 될것같습니다.
현상액은 다른걸 사용해도 가능은하지만 화학적 특성은 비슷해야반응을 하기에 가능하면 바꾸는것보다는 시간조절등으로 컨트롤하시는게 일반적일듯합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