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system engineering
전공학점 3.71/4.3이고 system engineering에 지원하려합니다. HW부서와 SW부서로 나뉘는데 그 중 HW부서의 PCB엔지니어를 꿈꾸고있습니다. 모교 센서연구실에서 인턴하면서 PCB설계를 접해봤고, 그 후 온라인교육원으로 PCB설계 툴 사용에 관한 인강 2편 정도를 이수했습니다. 반도체의 PCB설계와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전원회로(LDO와 Buck컨버터) 설계경험이있습니다. C언어에 대한 코딩에 대한 지식은 거의없는 편입니다.
Q. system engineering에 지원하려면 필요역량으로 코딩언어가 있는데, HW부서로 지원하면 코딩언어지식잉 없어도 상관없나요?
Q. 사실 반도체보다 전력전자쪽으로 공부를 했습니다.전원회로 PCB설계 공부와 경험들이 충분한 스펙이될까요?
Q. system engineering에 지원하려면 필요역량으로 코딩언어가 있는데, HW부서로 지원하면 코딩언어지식잉 없어도 상관없나요?
A. 주로 SW부서에서 코딩을 다루긴 하지만 HW 엔지니어로써 코딩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천지 차이입니다.
전쟁터에서 총을 든 병사와 칼을 든 병사가 싸우는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즉, 큰 무기라는 의미입니다.
HW를 만들더라도 SW와의 연계는 불가피한것이고, SW를 이해하면서 HW를 연구하는 엔지니어가 훨씬 적응도 빠르고 좋은 성과를 냅니다.
그래서 코딩 지식이 전무하다는 표현은 안하는것이 좋을 거 같아요.
Q. 사실 반도체보다 전력전자쪽으로 공부를 했습니다.전원회로 PCB설계 공부와 경험들이 충분한 스펙이될까요?
A. 반도체 회로 설계나 소자/공정/양산 등에서 다루는 8대 공정쪽이 아닌 PCB 설계라면 굳이 반도체 공부를 깊게 안들어가도 괜찮긴 한데요.
전원회로 쪽 경험이 있다고 하시니 이쪽을 살리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충분한 스펙까지는 아니더라도 강점을 살리는게 중요합니다.
PCB에도 power management 가 중요하므로 이부분과 전원회로를 연결하면 어떨까 합니다.
단순히 LDO와 Buck 의 unit 회로만 강조하지 마시고, PCB 전체 관점으로 접목시켜서 LDO와 Buck 배치나 기판에서 line 설정등의 power management 를 고려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202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