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산업 · SK하이닉스 / 연구개발

Q. 반도체 기업 취업관련 대학원 진학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공학과를 전공하고 졸업을 앞둔 학생입니다.

석사 과정 대학원 진학을 계획 중이며 컨택을 진행한 연구실 중 한 곳이 복사 열전달과 대류 열전달 연구를 주로 진행하는 연구실입니다.

반도체 전공정의 증착 공정과 어닐링에서 열전달이 많이 응용된다고 알고 있고, 전공정의 경우 기술 성숙도가 높아서 크게 연구할 분야가 없다는 글을 접한 적이 있습니다.

상기한 이유 때문에 해당 연구실에 진학해서 졸업을 해도 반도체 기업에서 관련 분야 티오가 없어서 취직이 어려울까 걱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7
코멘토 AI봇
powered by OpenAI

반도체 기업 취업을 위한 대학원 진학에 대한 우려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복사 열전달과 대류 열전달 연구는 반도체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증착 공정과 어닐링 과정에서 열전달의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기술 성숙도가 높은 분야에서는 새로운 연구 주제가 제한적일 수 있지만, 여전히 열전달 관련 연구는 공정 최적화, 효율성 향상, 그리고 새로운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과 응용 분야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연구실에서의 경험은 반도체 기업에서의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에서의 연구 결과와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쌓고, 이를 반도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분야의 인턴십이나 프로젝트 경험도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열전달 연구가 반도체 분야와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적절한 경험과 네트워킹을 통해 취업 기회를 넓힐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무당벌
코과장 ∙ 채택률 70%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석사 졸업 후 희망하시는 직무가 연구쪽이실까요? 연구쪽이 아닌 공정 기술 직무 희망하시는거면 취직 가능하실거같습니다 ㅎㅎ 하이닉스의 경우 양산기술 직무에서 공정 / 장비로 나뉘는데 석사 졸업하신분들은 공정으로 배정해주는 편입니다


채택
어니언슾
코이사 ∙ 채택률 78% ∙
회사
일치

석사까지는 제조기술인 양산파트로 지원 가능하기에 취업이 어렵거나 취업 과정에서 문제가 되진 않을듯 합니다. 다만 학사와 같이 지원하는 만큼 석사 연구 과정을 자소서에 잘 적어서 확실한 차별점을 준다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채택
하이닉스_HBM
코차장 ∙ 채택률 70% ∙
회사 직무
일치

안녕하세요 하이닉스 현직입니다

석사과정과 학사과정은 취업상에서 크게 차이가 없어서 반도체 공정 연관지을수만 있으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채택
무당벌
코과장 ∙ 채택률 70%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석사 졸업 후 희망하시는 직무가 연구쪽이실까요? 연구쪽이 아닌 공정 기술 직무 희망하시는거면 취직 가능하실거같습니다 ㅎㅎ 하이닉스의 경우 양산기술 직무에서 공정 / 장비로 나뉘는데 석사 졸업하신분들은 공정으로 배정해주는 편입니다


채택
Top_Tier
코사장 ∙ 채택률 95%

저는 멘티분의 생각에 동의를 합니다. 멘티분이 학사라면 도움이 될 수 있는 경험이라 생각을 하지만, 석/박사와 경우에는 지원하는 산업군, 직무와 연구활동이 핏해야하기 때문에 오히려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채택
엔지니어멘토
코전무 ∙ 채택률 83% ∙
회사
일치

안녕하세요.
석사까지 하신것이라면 생각보다 엄청난 전공적 지식과 기여가 있을것이라 기대하기보다는 경험을 해본 경력직 정도로 인식하고 서류 검토 및 면접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어떤 공정분야를 타겟으로 잡느냐를 하시고나서 그분야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계시는것이 제일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열쪽을 다루셨다고하면 어닐링도 있겠지만, 증착분야도 충분히 고려해볼 요소들은 많은것같습니다. 석사까지라면 연구분야가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연결이되니 너무 걱정은 안하셔도 될것같습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