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멘토
  • 커뮤니티
  • 직무부트캠프
  • 클래스
  • 채용
타임라인Q&A직무소개코멘토픽답변하기
가입/로그인제휴관리자기업교육

함께 읽은 질문

  • Q. 데이터 분석 자격증

    안녕하세요 화학공학과 4-1 마친 취준생입니다 반도체 공정기술/양산기술/후공정(패키징) 고민중인데, ADsP와 6시그마 필수일까요? 현재 4-1 마쳤는데 자격증을 준비해야 하는지, 아니면 유관 교육이나 실습을 나가는 것이 좋을지 고민되네요 +추가로 화공기사를 지금 따야할까요?


  • Q. 직무관련(회로설계 및 개발 or 임베디드 개발)

    안녕하세요 메카트로닉스공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저는 교과프로젝트를 통하여 아두이노와 STM32을 사용하여 수차례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해보았습니다. 또한 잿슨나노랑 STM32를 이용하여 졸업작품으로 발렛파킹로봇을 이용한 무인주차시스템을 구현중입니다, GPIO,USART,SPI,I2C,PWM,ADC 등등 이러한 경험이 저에게 흥미가 생겨 임베디드 개발쪽에 취업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현재 4학년이고 취업걱정에 조사를 해본 결과 임베디드쪽이 많은 사람들을 고용하지않는 걸로 알고 있어서 걱정입니다. 제가 그렇다 할 뛰어난 프로젝트를 진행해본 것도 아니고 해서 메카트로닉스 특성상 얕고 다양한 경험들을 한 것들중 회로쪽으로 방향을 틀까 생각중입니다. 전자회로,전기회로,전자회로실험,전기회로실험,제어공학 배운것은 이정도가 다 입니다. 회로설계 및 개발쪽은 비전이 괜찮을까요? 임베디드쪽을 포기하고 회로쪽을 선택하는 것이 좀 더 나은 비전이 있을까요?


  • Q. 전자공학과 배터리 취업 질문

    전자공학과에서 배터리나 이차전지분야로 취업하려면 어떤 과목을 수강하거나 어떠한 활동들을 진행해야 하나요?

연구개발 분야 취업시 석사 학위가 필수인가요?

NEW

빠른 답 찾아주는 코멘토 픽 써보기

공기업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전기직 공기업

서서초구냥냥펀치

안녕하세요 지거국 소방학과 졸업 후 소방쪽에서 일하고 있는 98년생 남성입니다 소방시설관리사를 목표로 하고 있었는데 법안이 바뀌면서 관리사 처우가 점점 안좋아져서 전기쪽으로 방향을 바꾸려고 합니다. 솔직히 메이저공기업(한전, 발전소)은 당연히 안될거라 생각하고 전기기사 취득 후에 지방공기업 쪽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이쪽은 필요스펙이 어느정도 될까요?? 그리고 전기직렬 지방공기업 회사들도 알고 싶습니다


2025.01.26

답변 7

  • 회
    회로설계멘토LIG넥스원
    코과장 ∙ 채택률 73%

    전기직렬로 방향을 바꾸려 하시는 만큼, 전기기사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건 아주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됩니다. 지방공기업이라 해도 전기 관련 설비 운영·관리, 발전소 유지보수, 송배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기기사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격증 취득 이후 문을 두드려보시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필요 스펙은 공기업마다 조금씩 다르므로 NCS 기반 직무기술서나 직무설명 자료를 꼼꼼히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보통 지방공기업 전기직 지원 요건을 살펴보면, 필수 자격증(전기기사)과 함께 토익 등 어학 성적이나 컴퓨터 활용 능력이 우대 요건으로 들어가기도 합니다. 학점이나 학력보다는 실제로 “전기를 안전하게 관리·운영할 수 있는 실무 능력과 기사 자격증 보유 여부”가 더 중요한 편이에요. 전기직렬 지방공기업은 대표적으로 도시철도공사(지하철 운영), 지역난방공사(발전플랜트 운영), 환경공단(소각장·하수처리장 내 전기설비 관리), 도시공사(택지개발, 신재생에너지 설비 운영) 등에서 전기 담당 인력을 뽑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시·도 산하의 교통공사, 시설공단, 환경공단, 도시공사 등에 ‘전기’ 직무가 존재하니, 지원하고자 하는 지자체별 공사·공단 공고를 꾸준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도 방산기업에서 HW설계 직무로 근무하며 회로설계업무를 맡고 있는데, 전기설비 및 전력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고 있으면 현장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이슈(안전, 설비 고장 등)를 훨씬 빠르게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실감합니다. 공기업 전기직무에서도 유사하게, 자격증을 통한 이론적 지식과 현장 대응력을 겸비한 인재를 선호하니, 전기기사를 따신 뒤에는 전력 설비 운영·유지보수 경험을 쌓는 방향으로 포트폴리오를 준비해보시면 좋겠습니다. 힘든 취업 준비 과정이지만,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노력하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게 있으시다면 채택해주시고 댓글로 추가 질문 상세히 달아주시면 더 답변드릴게요! 채택 부탁드리고 취업성공을 기원하겠습니다!

    *현직자 3만 명의 취업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됩니다.

    2025.01.28


  • 화
    화니화니12한국공항공사
    코대리 ∙ 채택률 55%

    공기업 기술직은 기사 자격증 요즘 쌍기사가 많습니다 어학 충족하셨으면 중앙 지방 가릴것없이 노려보시길 바랍니다

    *현직자 3만 명의 취업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됩니다.

    2025.01.27


  • 채택스포스코
    코이사 ∙ 채택률 81%

    안녕하세요, 멘티님. 반갑습니다! 소방 분야에서 전기 분야로 진로를 변경하려는 결정을 내리셨군요. 방향 전환과 관련된 고민을 이해합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차례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지방공기업에서 전기직으로 일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스펙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전기기사 자격증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은 기본적인 전기설비 관련 지식과 기술을 입증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자격증입니다. 그 외에도 전기공사기사, 소방설비기사(전기), 설비보전기사 등의 자격증을 추가로 취득하면 더 좋습니다. 또한, 지방공기업에서는 보통 실무 경험도 중요합니다. 특히 설비, 공정, 유지보수와 같은 실무 경험이 있으면 매우 유리합니다. 전력 설비 관리, 발전소, 수배전반 관리, 송전선로 점검 등의 경험은 면접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어요. 만약 현장에서 근무한 경험이 없더라도 인턴십이나 아르바이트 경험을 통해 현장 경험을 쌓는 것도 좋습니다. 지방공기업에서 전기직으로 일할 수 있는 곳은 꽤 다양합니다. 한국전력공사의 지역본부가 주요한 곳이고, 지방자치단체 산하의 전력공급 관련 공기업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도시철도공사, 지역난방공사, 수자원공사, 도시개발공사, 농어촌공사 등이 있어요. 특히, 최근 에너지 관리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관련 분야에서 일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방공기업에서 근무하려면, 전기기사 외에도 현장 경험, 문제 해결 능력, 그리고 기본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도 중요한 스펙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엑셀, CAD, 전력 시스템 관련 프로그램 등을 사용할 줄 아는 능력도 중요하게 여겨지니, 이런 부분에 대해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현직자 3만 명의 취업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됩니다.

    2025.01.27


  • 하
    하나린0417지멘스
    코상무 ∙ 채택률 100%

    안녕하세요 지방공기업도 필요스펙은 비슷해요 가산점되는 자격증 한국사 컴활 등가산자격증 어학점수 + NCS입니다.

    *현직자 3만 명의 취업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됩니다.

    2025.01.27


  • Top_TierHD현대건설기계
    코사장 ∙ 채택률 95%

    말씀하신 자격증 취득 외에 한국사 한자 컴활과 같은 가산자격증도 준비를 하시고 어학은 스피킹기준 IH이상 그리고 인턴의 경험도 만드시는 것이 취업시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현직자 3만 명의 취업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됩니다.

    2025.01.27


  • 합격 메이트삼성전자
    코전무 ∙ 채택률 83%

    안녕하세요 멘티님 토익, 컴활은 기본 취득하신 후에 ncs 검사 시험 준비가 필요하십니다. 기사 자격증까지 취득하시면 좋으나, 경력사항이 그래도 있으시니 자기소개서 등에서 잘 풀어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현직자 3만 명의 취업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됩니다.

    2025.01.26


  • 신
    신뢰의마부두산에너빌리티
    코사장 ∙ 채택률 91%

    안녕하세요 멘티님, 전기직력 지방공기업은 한전기술이나 관리공단 코레일 정도가 있을수 있는데 거기도 쌍기사 정도 되어야하는게 보통 메이저 공기업 한전 발전자회사 한수원 수자원 공사 한전 KPS안되면 언급한 한전기술이나 지역관리공단에 넣다보니 쌍기사 토익 800점대, 컴활 1급,한국사 이런 기본스펙은 동일하다 보는게 좋습니다.

    *현직자 3만 명의 취업 정보가 실시간 업데이트됩니다.

    2025.01.26


  • AD
    반도체
    설계팀

    대기업 반도체 산업으로 취업하기 위해선, 직관적 해석능력과 사고력이 필요합니다. 핵심 역량과 배운 지식을 취업에 활용하고 싶다면 국비지원 강의를 추천합니다.

    코멘토 내일배움카드 안내

함께 읽은 질문

  • Q. 데이터 분석 자격증

    안녕하세요 화학공학과 4-1 마친 취준생입니다 반도체 공정기술/양산기술/후공정(패키징) 고민중인데, ADsP와 6시그마 필수일까요? 현재 4-1 마쳤는데 자격증을 준비해야 하는지, 아니면 유관 교육이나 실습을 나가는 것이 좋을지 고민되네요 +추가로 화공기사를 지금 따야할까요?


  • Q. 직무관련(회로설계 및 개발 or 임베디드 개발)

    안녕하세요 메카트로닉스공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저는 교과프로젝트를 통하여 아두이노와 STM32을 사용하여 수차례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현해보았습니다. 또한 잿슨나노랑 STM32를 이용하여 졸업작품으로 발렛파킹로봇을 이용한 무인주차시스템을 구현중입니다, GPIO,USART,SPI,I2C,PWM,ADC 등등 이러한 경험이 저에게 흥미가 생겨 임베디드 개발쪽에 취업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현재 4학년이고 취업걱정에 조사를 해본 결과 임베디드쪽이 많은 사람들을 고용하지않는 걸로 알고 있어서 걱정입니다. 제가 그렇다 할 뛰어난 프로젝트를 진행해본 것도 아니고 해서 메카트로닉스 특성상 얕고 다양한 경험들을 한 것들중 회로쪽으로 방향을 틀까 생각중입니다. 전자회로,전기회로,전자회로실험,전기회로실험,제어공학 배운것은 이정도가 다 입니다. 회로설계 및 개발쪽은 비전이 괜찮을까요? 임베디드쪽을 포기하고 회로쪽을 선택하는 것이 좀 더 나은 비전이 있을까요?


  • Q. 전자공학과 배터리 취업 질문

    전자공학과에서 배터리나 이차전지분야로 취업하려면 어떤 과목을 수강하거나 어떠한 활동들을 진행해야 하나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

고객센터

운영시간 : 평일 10시 ~ 18시 30분 (주말, 공휴일 제외)

점심시간 : 12시 30분 ~ 14시


기업 제휴 문의: help@comento.kr
1:1 문의하기

서비스

회사소개공지사항인재 채용제휴 대학 인증코멘토픽 소개

파트너스

제휴 관리자직무부트캠프 제휴멘토링 제휴광고문의기업 교육
App Store에서 다운로드 하기Google Play에서 다운로드
(주)코멘토ㅣ대표이사 이재성ㅣ사업자등록번호 487-86-00195 04512 서울특별시 중구 칠패로 28, 메리츠강북타워 3층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18-서울중구-1245호ㅣ직업정보제공사업신고 서울청 제 2018-19호ㅣ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 원격-376호 070-4154-0804(주)코멘토ㅣ대표이사 이재성 04512 서울특별시 중구 칠패로 28, 메리츠강북타워 3층 사업자등록번호 487-86-00195ㅣ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18-서울중구-1245호 직업정보제공사업신고 서울청 제 2018-19호 원격평생교육시설신고 제 원격-376호ㅣ070-4154-0804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by (주)코멘토. All right reserved.

코멘토 네이버 블로그 링크코멘토 인스타그램 링크코멘토 브런치 링크

시작하는 사람들의
커리어 커뮤니티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