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편입 고민
저는 인하, 아주 라인 전자공학과 재학중이고 이제 2학년 올라갑니다. 학점은 4점대이고 목표는 대기업 취직입니다. 제가 학벌을 올리고 싶어서 편입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데 에타를 보면 편입하지말고 그냥 학교에서 열심히 생활하라고 하더라구요... 최소 중앙대이상은 가야 의미가 있다는데 대기업 취직할 때 메리트가 있으려면 어느학교까지 쓰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편입을 추천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2025.02.05
답변 9
- 신신신파스현대자동차코상무 ∙ 채택률 94%
채택된 답변
- 화공쟁이컨설턴트LG화학코사장 ∙ 채택률 82% ∙일치학교
채택된 답변
안녕하세요. 취업 컨설턴트로 활동 중인 멘토 화공쟁이입니다. 인하대/아주대는 이공계통 쪽에서 인서울 중위권 정도의 등급에 해당합니다. 요즘 인풋은 다를 수 있겠지만 사회적으로 평가받는 인식과 분포된 재직자들의 학벌 상 그러하게 평가됩니다. 최소 연고대 이상 가시는 바가 아니라면 그 이하 대학 라인에서 편입의 효과는 크지 않다고 봅니다. 서성한 라인을 가셔도 좋긴 하지만 편입에 투입하는 비용과 시간이 다소 아쉬울 것 같네요. 일반 대기업군 희망하시는데는 인하/아주대에서 개인이 잘 준비만 하시면 충분히 다 갈 수 있으니, 지금처럼 재학 중인 곳에서 스펙을 잘 준비하는 것을 권합니다. 보다 상세한 사항이나 기타 커리어 관련 고민은 댓글을 남겨주시면 친절히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조언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채택 부탁드립니다.
- 신신뢰의마부두산에너빌리티코사장 ∙ 채택률 91%
채택된 답변
댓글 2
승승승219작성자2025.02.05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취업 준비할 때 인하, 아주라인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경희대까지 편입 생각하고 있었는데 취업할 때 차이가 없을까요?
신신뢰의마부두산에너빌리티2025.02.05
@승승219 과거는 아주정도면 좋았지만 경희대 갈거면 공대가 좋은편이아라서 조금은 비추합니다. 중대까지는 가시는게 좋습니다.
- 화공쟁이컨설턴트LG화학코사장 ∙ 채택률 82% ∙일치학교
안녕하세요. 취업 컨설턴트로 활동 중인 멘토 화공쟁이입니다. 인하대/아주대는 이공계통 쪽에서 인서울 중위권 정도의 등급에 해당합니다. 요즘 인풋은 다를 수 있겠지만 사회적으로 평가받는 인식과 분포된 재직자들의 학벌 상 그러하게 평가됩니다. 최소 연고대 이상 가시는 바가 아니라면 그 이하 대학 라인에서 편입의 효과는 크지 않다고 봅니다. 서성한 라인을 가셔도 좋긴 하지만 편입에 투입하는 비용과 시간이 다소 아쉬울 것 같네요. 일반 대기업군 희망하시는데는 인하/아주대에서 개인이 잘 준비만 하시면 충분히 다 갈 수 있으니, 지금처럼 재학 중인 곳에서 스펙을 잘 준비하는 것을 권합니다. 보다 상세한 사항이나 기타 커리어 관련 고민은 댓글을 남겨주시면 친절히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조언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채택 부탁드립니다.
함께 읽은 질문
Q. 백수에서 무언가 해보고싶은데
대학교 중퇴 만 30세 남자 입니다. 자격증은 한국사 1급하고 워드1급뿐... 공시준비한다고 아무것도 해본적없는 백수입니다. 아무래도 뭐라도 해봐야할것같아 국민취업제도를 이용해서 자격증이나 취업을 하고싶습니다. 1. ERP와 전산세무 회계 수업을 듣게되면, 준비하고 있는 학점은행제로 학사학위를 취득하면서 취업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아무래도 무경력 남자로서 세무회계쪽은 힘들까요? 2. 노베이스로 데이터 분석가나 백엔드 개발자 수업을 듣고 취업준비하는건 현실성이 없을까요?
Q. 기계공학 학사, 인공지능 석사 취업 진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경희대 기계공학 학부 졸, 연세대 인공지능 석사 졸(이번 가을학기)입니다. 학부 성적은 3.56/4.3(백분위 7%)이며 한학기 제외 전액 장학금을 받았고, 일반기계기사 자격증이 있습니다. 기계공학관련하여 대외활동은 없습니다... 경험이라고 한다면 수업 중 팀플과제로 cad, solidworks를 통해 기구를 구현화한 경험이 있습니다. 대학원에서는 멀티모달 정보를 통합하여 시계열 데이터 예측 Ai 모델 구축을 졸업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 모델로 개인적으로 자율주행 사이드 프로젝트도 진행했구요 . 석사 생활 중 한 회사의 기술보증기금 특허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4개월간 일을 한 경험도 있습니다. 기계공학에 ai를 접목한 직무에 도전하고 싶은데 기업들에서는 두 전공을 개별화하여 채용을 하고 있어 이도저도 아닌 것 같아 직무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대차 R&D를 생각하고 있지만. 저를 어떤식으로 어필할지 모르겠네요.. 혹은 다른 기업의 적절한 직무가 있을까요?
Q. 면접 갔는데 컨설팅한것 같으면 좋은 신호일까요?
면접 초반 이직사유, 업무내용 설명 외의 모든 질문이 회사에 1번 문제가 있는데 어떻게 해결해야될까요? 회사에 2번 문제가 있는데 어떻게 해결해야될까요? 이런식으로 문제사항에 대한 해결방법을 물어보셔서 아는선에서 답변을 해드리고는 면접이 끝났습니다. 해당 문제들이 법적인 문제들이어서 외부인에게 공개하기 어려운 것들인데 좋은 신호로 생각해도 괜찮을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