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Engineering으로 전과한 학부생입니다.
학교에 입학후 첫 2년은 의료공학과, 군대 제대 후 복학하여 전기전자과 1년 그리고 곧 시작하는 가을학기부터 Computer Engineering을 시작하려 합니다. (Computer Science전과를 희망했지만 시간상 불가능했습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Accelerated Masters Program 이 있습니다. Master's degree를 Electrical Engineering 이나 Computer Engineering으로 선택할 수 도 있습니다. 현재로써는 같은 Computer Engineering 전공으로 Master's degree를 취득하는 쪽으로 고려하고있습니다. 현재 Computer engineering 필드에서 어떠한 세부분야가 유망한지 여쭤봐도 될까요? 최대한 신속하게 로드맵을 정한다음 수업이외에 리서치,프로젝트, 인턴쉽도 같은 방향으로 맞추고 싶습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rade compliance
안녕하세요. 현재 3m에서 trade compliance 직무 경력직을 뽑고있는데 경력 1년이상~ 5년이하가 자건요건입니다. 저는 무역관련 공사에서 수출상담회를 기획/운영하는 업무를 1년 4개월간 담당했었습니다. 제가 궁금한 건, 같은 채용공고에서 대부분의 경력채용 직무들은 유관경력요구가 언급되어있었지만 이 직무만 단순히 '경력1년 이상~5년이하'로 적혀있었습니다.제 경력이 이 직무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다른점을 어필하며 지원해 붙을 확률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이런 경우엔 어떻게 하시는지.. 그리고 trade compliance 직무의 경우 경력을 어디서 쌓으시죠? 세관이나 사기업 비슷한 직무인가요? 그리고 현직자를 직접 찾아가보고싶은데, 보통 현직자를 어떻게 만나시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전공과 지원 분야가 다르면 힘들까요?
저는 한복을 좋아해서 한곳만 본다 생각하고 전문대 전통의상과를 나왔고 졸업 후 1년동안 한복매장에서 일도 했습니다. 일하면서 정말 이일을 좋아하는게 맞는지 회의감이 들었어요. 좋아하는거랑 잘하는거랑은 다르다고 생각도 들었구요. 일년동안 화장품 로드샵 일을 하며 생각을 많이해봤는데 제가 정말 좋아하고 잘할 수 있겠다 싶은게 뷰티에디터나 마케팅이라고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24살 다른친구들은 대학잘나오고 스펙쌓으며 취직활동 시작하는데 한복만 생각했던 저는 이제까지 해둔게 아무것도 없어요. 파워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방문자 있는 뷰티블로그 운영과 뷰티서포터즈 정도.. 요즘 다시 모든걸 시작하려니 두렵기도 하고 잠이 잘 안오네요ㅠㅠ 대학교 다시 입학은 너무 무리지만 편입이 답이려나 걱정이고..스펙이라도 열심히 쌓으려 공부해야하는데 에티터나 마케팅쪽은 토익 컴활 말고 혹시 더 준비하면 좋은것이 있는지와 기본스펙 갖춰지면 자소서로 승산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2017.03.18
장금상선 대졸 여자 연봉
장금상선 이번에 지원해보려고 하는데 현직자나 퇴사하신 선배님들 있으시면 질문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ㅎㅎ 1) 평택 사택은 어떤가요? 차라리 서울본사로 지원하는게 낫나요? 2) 명절에 여자 한복입혀서 떡돌린다는 루머가 사실인가요? 3) 여자 대졸은 연봉이 남자 (대졸, 군필)이랑 차이가 많이 날까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6세 여자 직무 경험이 없어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2월 졸업 후 취준 중입니다 아예 직무 경험이 없어 서류부터 탈락하는 게 고민입니다 대학교 다닐 때도 무역 수업을 듣지 못해 노베이스 상태로 시작하느라 무역 자격증을 취득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스펙이 없어서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것 자체도 두렵네요.. 현재 스펙 인서울 하위권 / 일본어, 글로벌 경영 복수전공/ 4.34 국제무역사, 무역영어 1급 보유 JLPT N1, 토익스피킹 150 한복대여점 아르바이트 6개월 (외국인 응대해봄) 단순 사무보조 아르바이트 제 스펙을 봐도 불합격은 당연하다는 생각만 듭니다 내년에 유통관리사 2급과 물류관리사를 준비하려고 하는 데 회사 지원은 하지말고 실무 교육을 받거나 자격증 공부에 집중하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계속 떨어지더라도 지원하는게 나을까요? 내년에 27세여서 신입치고는 젊은 나이가 아니어서 큰 고민입니다..
Ad tech 면접관련
Ad tech 회사 과제중에 아래와 같은 설명이 있는데 해석은 되지만 좀 궁극적인 의미 해석이 조금 어려워서 혹시 업계에 종사하시는 분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 A company Stats : A company performance data according to the panel - Client Stats :A company performance data according to the client's reporting system - Competition Stats :Performance data of another retargeter according to the client's reporting system - Attr. Conv : # of conversions attributed to A company - Attr. Conv Value : Total conversions' value attributed to A company
민간발전사 준비, 환경전공자
민간발전사(GS파워, GS esp, GS E&r, CGN대산전력, CGN율촌전력, 포천복합발전, SK /포스코 계열사) 에서도 수질/대기관리, 수처리, SHEQ(환경안전보건) 직무를 뽑는다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해당 산업군에 해당직무로 취업하기 위해 필요한것이 무엇인지, 현직자의 시선에서 볼 때 어떤 사람을 뽑고 싶은지, 어떤 역량을 핵심적으로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그 외 학벌이나, 나이, 전공의 정합성()을 보고 서류 컷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가령 몇살이상이면 불이익이라던지. 순수 환경공학과만 뽑는다던지, 학벌을 굉장히 많이 본다던지.. 가고 싶지만 현재 28살이라, 만약 이런게 있다면 주요산업군을 다른곳으로 설정하고자 합니다. (정유사는 학벌을 많이 본다고 알려져있는것처럼) 지방거점국립대학교 화학, 환경유관전공이며 기사자격증을 취득할 예정입니다. (화학공학과, 환경공학과 아님)
엔씨소프트 개발관리 (PM)직군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1. 게임 관련 경험이 없는 사람도 채용되는지? - 게임은 컴퓨터를 접한 순간부터 해왔지만 취미로 꾸준히 즐기기만해와서 특별한 활동을 한 적이 없습니다. 최대로 엮어보자면 학생회 때 단과대 esports 대회를 처음 만든 것 정도 있을 것 같네요ㅠ - 다양한 게임이 아니라 롤/옵치 등 주류게임과 종종 유행하는 모바일게임을 한 번 씩 한 정도인데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까 우려되긴합니다. (이 정도 백그라운드의 사람이 커버해서 지원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2. 대신 IT 스타트업에서 PM 인턴 경험이 있는데 유사 경험으로 인식이 될까요? - 산업군이 다르지만... 나름 개발자들과 의사소통하고 일정 조율하는 일을했습니다. 이런 일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이기도 하구요 3. 우대 전공이 나타나있지는 않지만 혹시 개발 역량이 있는 과를 선호하는지 궁금합니다. - 게임 개발 경험/ 프로그래밍 관심 등을 선호한다고 나와있는데, 관심은 있고 소소한 프로젝트는 해봤지만 비전공이다 보니 아는 것이 많지는 않아서요ㅠ.. 파이썬 아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감사합니다.
직무 선택 및 진로 질문 (현대모비스 등)
안녕하세요. 제가 가진 스펙은 지거국 전자공학과 졸업예정. 교내캡스톤 장려상, 교내 멘토링 多, H-jump스쿨 이 있습니다. 개발 경험으로는 스위치로 BLE통신을 통해 방향지시 제어 및 모터제어 를 해봤고, ESP, arduino, Rpi, Atmega를 다뤄보았습니다. 졸업하기에 얼마 안남았고, 한학기~1년 정도 준비해서 취업하려하는데요, 전장사업의 AVNT/IVI_APP SW 에서 빈약한 스펙에 더 매꿔야 할 것과, 다른 직무선택을 추천하시는 것이 있으셔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임베디드 개발자의 범위가 너무 방대해서 진로 설정하기에 어려워요ㅠㅠ
곧 삼전 공채 시즌인데 cs, os, 임베관한 지식은 앞으로도 공부할 거고, c++로 코테는 뚫는다는 전제 하에 Q1. 어디 사업부 어느 직무에 지원할지 고민입니다. lsi는 시스템반도체를 개발하고, dx는 가전에 들어가는 sw를 개발하는데 사실 둘다 좋습니다.. 어디든 제가 아는 건 새발의 피라고 생각해서 흥미적성은 둘다 좋아요 다만 전기공 학부생으로서 hwsw를 둘다하는 임베면 만족입니다. Q2. 티오를 고민하는건 의미없다는 걸 알지만 학부생 입장에서 봤을 때 멘토님들의 주관적인 생각으로 어디가 경쟁력있을지 궁금합니다. -경험- hw쪽으로 1. 학부때 태양광반도체 소자에 관련 논문 작성. 2. 캡스톤 때 벅컨버터를 설계하고 제작해서 무선충전 시스템에 적용. sw쪽으로 ssafy 수료 1. c를 이용해서 간단한 모터제어, 프론트와 통신 2. esp를 이용해서 비콘 센서 제작, 백앤드와 통신 3. 앞으로 stm을 이용한 펌웨어 관련 프로젝트 기획 중
어떤 직무로 지원을 해야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2025년 2월 졸업을 앞둔 인공지능학과 4학년 대학생입니다. 작년도 2학기부터 이번년도 1학기까지 'rc카 추종 로봇 구현'이라는 주제로 캡스톤디자인을 수행하면서 자동차나 모바일 로봇 개발에 관심이 깊어졌고, 저의 진로를 모바일 로봇 개발쪽으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NVIDIA Jetson Orin Nano와 Esp32 보드를 가지고 ROS2와 Micro-ROS를 사용해서 전체 로봇 시스템 설계 및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시스템 통합을 해본 경험을 살려 사기업(대기업 ㅎㅎ)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데요. 채용공고에 적힌 직무나 업무내용 그리고 자격요건을 보면, 저의 경험이 너무나 부족하고 다 관련이 없어보여 어떤 직무로 지원을 해야할 지, 그리고 어떤 스펙을 쌓아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자동차 및 로봇 개발 관련 직무에 종사하고 계신 현직자분들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문서비스 로봇 제어 및 SW엔지니어 관련직무
현재 2년 전문대를 다니고있는 2학년 전자학생입니다 회사우대 사항에 AGV,AMR,직교로봇 제어 ? BLDC,스텝,AC/DC 서보모터 구동 제어 및 SW 개발 유경험자 라고 적혀있는데 AGV,AMR,직교로봇 배워볼수있는 자료나 혼자서 배울수 있을까요? 전자의 기본적인 지식은 있고 아두이노 esp32,자이로센서,BLDC 등 아두이노는 학교에서 잘하는 수준입니다(밖에서는 아니겠지만) 수학수준은 기본적인 중학 수학 정도를 알고있는데 저에게 부족한 점이나 추가할점 있으면 알려줄수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