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와 펌웨어 중에 진로 고민을 하고있습니다.
SW와 펌웨어 중에 진로 고민을 하고있습니다. 그 중에서 펌웨어 직무 및 비전에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펌웨어에도 종류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RTOS, Linux, 통신 등 그 중 통신 분야에서 stm의 HAL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Can통신을 하는 분야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1. 위 관련 통신분야 회사를 2~3년 정도 다니다 이직을 하게된다면 이직할 곳은 많은가요?? 이직은 쉬운 편인가요?? 2. 이직을 할때 RTOS 나 Linux 관련 펌웨어로도 이직이 가능한가요?? 만약 가능하다면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나요?? 3. 펌웨어 업종을 바꿨을 경우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나요?? ex) ADAS 관련 통신 펌웨어 -> 의료기기 펌웨어 ADAS 관련 CAN통신 펌웨어 -> 이더넷 통신 펌웨어 이렇게도 이직이 가능한가요?? 4. 위의 통신분야 펌웨어는 비전이 있는 편인가요?? 5. 예전에 비해 펌웨어 일자리는 많이 사라지는 추세인가요?? 정말 고민이 많이 됩니다ㅜㅜ 도와주세요
현대자동차 직무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펌웨어 개발에 관심 있는 취업준비생 입니다. 1. 현대자동차 채용공고를 보면 펌웨어 개발이라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고 차량 제어 시스템 개발이라는 부서가 있는데 이 분야가 펌웨어 쪽인가요? 또는 상용 차량 개발 분야도 펌웨어 쪽에 포함되나요? 2. 제가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제어라는 직무는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구하고, PID 게인을 튜닝하거나, MATLAB을 이용해서 모터를 제어하는 이런 일을 하는 것 같은데 펌웨어 직무랑 차이가 어떻게 되나요? 3. 전동화 시스템 개발 쪽은 HW 개발 쪽에 가까운 것 같은데 맞을까요? 전동화(인버터, 컨버터) 펌웨어 직무는 어떤게 있을까요?
펌웨어 기업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펌웨어에 관심 갖게 시작한지 얼마 안된 대학생입니다!!! 저는 펌웨어 엔지니어가 되고 싶고, 외국계 기업에 가고 싶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펌웨어 기업 순위라고 쳐도 제가 원하는게 나오지는 않더군요... 팹리스 기업 순위나 반도체 기업 순위는 있는데 여기에 들어가면 딱히 펌웨어 개발 부서는 없는것 같아서요.. 어떻게 쳐야 펌웨어 기업 순위를 알 수 있나요? 철이 없게 들리겠지만 저는 돈을 많이 버는 것이 목표라서 15순위 안에 있는 외국계 기업으로 가고 싶습니다..!
펌웨어 직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4학년 졸업 예정인 전자과 학생입니다. 이번에 펌웨어 부분에 관심이 생겨서 찾아보았는데 하드웨어 안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라는 느낌은 알것 같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던 도중 펌웨어 부분이 소프트웨어 부분보다 조금 더 취업이 더 안되고 시장이 작아 이직도 힘들다는 부분을 보았는데 이점이 정말인가요? 또 급여도 소프트웨어 부분보다 적다는데... 아직 진로를 정하는 중인데 펌웨어 쪽 .. 시장이 좋지 않나요?
디바이스 드라이버. 펌웨어 직무 면접
대학에서 펌웨어 위주로 공부하고 프로젝트도 펌웨어 관련 프로젝트만 경험했습니다. 근데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개발? 커널? 소켓 컴파일러 개발? 업무를 하는 회사에서 면접이 잡혔습니다. 1) 가서 면접을 봐야 할까요? 거리가 먼데 회사 규모는 커서요.. 2) 면접에서 펌웨어 직무를 하고 싶다고 어필을 해야 하나요? 다른 펌웨어 부서가 있는데 이번에 안 뽑는 거 같아요
펌웨어 관련 취업이 궁금합니다..
지방 4년제 국립대 전자공학과 졸업예정자 입니다. 올해로 29세, 만 27세이며 중간에 휴학하고 학비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을 하였더니 늦은 나이에 졸업하게 되었는데요. 종종 구글링해서 아두이노로 장난감 만들고 했어서, 나중에 펌웨어 쪽으로 취업하고 싶었습니다. 펌웨어 관련 취업을 알아보니 직무가 PCB WORK, 임베디드 리눅스, FPGA 등등 전혀 경험도 지식도 없는 것들이 더군요ㅠ 배운 것 중 그나마 관련된 지식이 전자,전기회로, 디지털 시스템, 센서네트워크, 마이크로컨트롤러, C/C++ 프로그래밍, 종합설계, 아두이노로 졸작만든 정도 밖에 없었습니다. ARM에 대한 경험.. 지식도 없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살아온 탓이죠 ㅠ 급한대로 임베디드 리눅스 교재들을 구입하여 독학중 입니다. 국비교육으로 임베디드 리눅스 쪽을 배우고 싶지만, 나이도 있고 또 아버지 병원비와 생계비도 벌어야 해서 취업을 미루기가 미루기가 고민 입니다. 소규모 기업도 지원하기에는 무리겠죠..?
펌웨어 엔지니어가 되고 싶습니다. 방향성을 잡기 어려워서 도움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전동화 펌웨어 엔지니어가 되고 싶은 26살 남성입니다. 2월에 수도권 4년제 학부 졸업하였고, 전공은 전기공학입니다. 제 경험은 - 전력전자 연구실 학부연구생 1년 -> 다양한 컨버터 설계 및 구현 경험, 전원장치 프로젝트 연구보조 - 국내 학회에서 포스터 발표 진행 후 발표상 수상 -> DSP를 이용한 공진형 컨버터 관련 내용 - PSPICE: 컨버터 시뮬레이션, MATLAB/SIMULINK: DC/AC 모터 및 멀티레벨 인버터 시뮬레이션 - H-Mobility Class 전동화 과정 수료 - 국비지원 IoT 개발자 과정(현재 진행 중) ->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간단하게 다뤄본 정도 입니다. 그런데 펌웨어 직무 특성 상 공백기에 직무에 대해 공부하기는 어렵다 생각해서 일단 당장 취업해서 경력을 쌓을지, 조금 더 기다린 후에 하반기 채용을 지원해볼지가 고민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객관적인 의견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하드웨어 엔지니어 입니다. 펌웨어 엔지니어로 업종변경 및 이직하려고 합니다.
일단 저는 대졸채용으로 현재 통신기기 관련 회사에서 하드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2년6개월째 일하고 있고요. 회사가 어느정도 완성형이여서 제품개발 보단 디버그를 주로 업무로 담당하고 있습니다. 현재회사가 씨리얼통신 및 이더넷 통신으로 제품개발을 하고있는데 이를바탕으로 펌웨어 엔지니어로 업종을 변경하고 싶습니다. 또한 이직도 노려보고 있구요. 펌웨어 엔지니어가 되면 일단 이 경력도 인정받지 못할까요? 그리고 이런 rtos/linux를 이용하는 통신업종 펌웨어 엔지니어 이직은 잘 될까요?
실리콘웍스 펌웨어 개발 직무
실리콘웍스 펌웨어 개발 직무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나요?? 공고에는 Touch System F/W, Application이라 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직무인지 알고 싶습니다.
검증 펌웨어 직무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올해 상반기에 삼성전자 ds 메모리사업부 검증 펌웨어 직무 관심을 갖게된 컴퓨터공학과 학생입니다. 아래와 같은 * SoC HW/SW Co-Verification 기술 □ SSD/eStorage Controller 검증 직무 □ SSD/eStorage 검증 Firmware 개발 직무 □ SSD/eStorage Controller 검증 직무 를 수행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저는 실제로 임베디드 관련 project를 진행한 적은 없습니다. 컴퓨터공학과 공부를 하면서 os와 컴퓨터구조에 관심이 주로 많은 편이라 hw와 sw을 함께 개발하는 펌웨어 직무에 관심이 생겨 지원하였습니다. 혹시 위 직무를 잘 하기 위해 어떤 부분들을 더 준비하면 좋을지, 위 직무가 하는 일이 더 자세히 무엇인지 가 궁금합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가감없이 조언해주신다면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반도체 펌웨어 이직
Field Application Engineer • 스마트폰 카메라 SW, 펌웨어 시스템 제어 및 튜닝 카메라 손떨림 방지 기술 개발 엔지니어 이 직무에 2년 계약직으로 붙었습니다. 스마트폰 카메라 SW나 펌웨어 시스템 제어 및 튜닝으로 경력 쌓아도 반도체 메모리 펌웨어 직무로 중고신입 가능할까요?
기계제어 전공자가 펌웨어 개발자로 취업
안녕하세요. 기계제어를 전공한 1년차 직장인입니다. 최근에 펌웨어 개발자로써 업무 전향의 기회가 생겨 몇 가지 질문 남깁니다. 1. 펌웨어 개발자가 되려면 하드웨어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야 할까요? 하드웨어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하는데 회로 설계 엔지니어가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깊이까지, 어떤 방향으로 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잡힙니다ㅠㅠ 2. 그리고 업무 전향을 하면서 이직도 같이 고민 중인데 지금 회사에서 펌웨어 프로젝트 하나 해보고 다른 회사로 중고신입으로 이직하면 어떨까요? 전자나 컴공이 주로 지원하는 분야인데 프로젝트 하나 해본 중고신입으로 들어가는 게 경쟁력이 있을까요? 혼란 속에 갈팡질팡하는 어린 양에게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ㅠㅠ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