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건
4,200건
안녕하세요! 이번 하반기에 현대모비스 SW 연구개발 직무에 도전하고자 합니다! SW 개발 직무를 조사하다 보니 현대 모비스는 모듈 관련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것 같던데,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제품별 SW/플랫폼/로직에 관한 개발들은 보통 자동차 내부의 모듈 제조(칵핏,FEM,샤시)에 관련된 것인가요? 구체적으로 SW 연구 개발의 직무에 관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팀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제가 컴공과를 졸업하면서 임베디드 SW(sw 에 가까운)를 주로 하였는데 임베디드 관련 역량을 어떻게 활용 할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현대자동차 수시 채용을 준비하면서, 직무에 대한 고민이 너무 많이 생겨서 멘토님들께 질문 드립니다. 정확히 "제어 시스템 및 전자 플랫폼 개발" 직무가 어떤 일을 하는지, SW 개발 역량이 필요한 직무가 맞는지. 제어 이론이나 공학 부분을 경험하지 않았어도 도전해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를 전공했습니다. 공부하면서 임베디드 SW에 관심이 많이 생겼고, 자동차 제어를 경험해 보고 싶어서 이번 현대 자동차 "제어 시스템 및 전자 플랫폼 개발" 직무에 지원했고, 직무 면접을 앞두고 있습니다. 근데 직무 면접을 준비하면 할수록, 이 직무가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저에게 맞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저는 자동차 제어나 내부 통신에 관심을 가진지 얼마 안돼서, 실제적인 제어 공학이나 제어 이론을 배워본 적이 없습니다. 혼자 그냥 자동차 내부 제어나 통신이 궁금해서 CAN 모듈을 사서 간단하게 통신해본 게 다 입니다. 그리고 임베디드 SW 개발도, 딥러닝이나 컴퓨터 비전 관련 응용 프로그램 위주로 개발 해 봤습니다. 제어 관련 SW 개발 경험은 없습니다. 제어 SW 분야에 흥미를 갖고 지원했지만, 제가 할수 있는 분야의 일이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저에게 적합한 직무가 아니라고 생각하시면 그렇게 조언을 주셔도 잘 받아들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어 시스템 및 전자 플랫폼 개발> 상세 직무. 멘토님들 참고용 · 시스템별 SW 제어로직 개발 및 검증 (샤시/바디/전동화 PT/연료전지) - 시스템 제어로직 개발 및 임베디드용 SW 상세 설계 - 제어 기능 검증 및 신뢰성 평가 (HILS/MILS 등) · 시스템별 제어 HW 설계 및 SW 플랫폼 아키텍처 개발 (샤시/바디/전동화 PT/연료전지) - 제어기 사양 설계 및 개발 - 기능안전 분석으로 안전 메커니즘 개발, HW/SW 세부 안전 대책 정의/사양화 - 다차종 대응을 위한 시스템별 제어 구조 및 SW 아키텍처 설계 · 상용차 전자제어시스템(전동화/전자편의/인포테인먼트/샤시) 및 전자플랫폼 개발 - Application software 개발 및 검증(MILS, HILS) - 전자/전력 플랫폼 (네트워크 아키텍처, 고전압/저전압 전력망) 개발 - 전장 시스템 설계 및 시험 - 커넥티드 서비스 개발 (빅데이터 분석, Fleet Management, 연비/전비 최적화) - 전동화 및 ADAS 실차 개발 및 검증 평가
안녕하세요. 이번에 모비스 신입 면접을 보게 되었습니다. ivi 프로젝트 관리 직무와 ivi sw pl 직무가 따로 있던데 이 두 직무가 무슨 차이가 있는 지, 특히 ivi 프로젝트 관리 직무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지 궁금합니다. 채용 공고 job description 은 아래와 같은데 도움 부탁 드립니다. 1. ivi 프로젝트 관리 [AVNT 제품군 양산 및 유지보수 개발을 위한 시스템 PL] - 프로젝트 일정 관리 - 제품 사양 관리 - SW 형상 관리 2. ivi sw pl [IVI 제품 SW PL] - 리눅스 OS 기반 IVI 제품 SW PL - IVI 제품 차종 및 해외지역 SW PL - SW 개발 프로세스 관리 - SW 기능 개발 리딩 운영 - 차종 SW 관련 고객사 대응 업무
2건
19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