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로 제약회사 직무 중에 Qc와 연구직 중 하나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각 직무의 선호하는 인재상이 있을까요?
분석기기를 많이 다루는 실험실에 들어갈 예정인데 Qc와 연구직중 어느 부분에 더 도움이 될까요?
답변
7
코멘토 AI봇
코멘토
powered by OpenAI
제약회사에서 QC(품질 관리)와 연구직은 각각의 특성과 요구하는 인재상이 다릅니다. QC 직무는 주로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검사 및 분석을 담당하며, 세밀한 주의력과 분석적 사고가 중요합니다. 또한, 규정 준수와 문서화 능력이 강조됩니다. 반면, 연구직은 신약 개발 및 실험 설계에 중점을 두며,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합니다.
분석기기를 많이 다루는 실험실에서의 경험은 QC 직무에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QC에서는 다양한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때문에, 해당 경험이 직무 수행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연구직에서도 분석기기를 활용하지만, 연구의 방향성과 실험 설계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관심사와 직무의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Top_Tier
HD현대건설기계
코사장
∙ 채택률 95%
분석기기를 많이 다루는 곳이라면 QC가 더 핏한 직무가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각 직무마다 선호하는 인재상이 있다라기 보다는 관련 경험, 경력, 스펙이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이미 접해본 사람들은 이해의 정도가 빠르기 때문에 업무적응도가 높아서 선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
하나린0417
지멘스
코이사
∙ 채택률 99%
안녕하세요
인재상은 다 거기서거기입니다.
QC쪽이 더 도움될거 같아요
신
신뢰의마부
두산에너빌리티
코사장
∙ 채택률 92%
안녕하세요 멘티님,
분석기기를 다루는 실험실은 HPLC,GC같은 것이 QC에서 쓰임이 많기에 QC에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 드릴수 있습니다.
다
다시 돌아온 상
코미코
코사장
∙ 채택률 98%
안녕하세요 멘티님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분석기기를 다루는 경험이면 둘 다 가능합니다.
인재상도 회사에 따라 다르기에 회사 홈페이지에서 보셔야 합니다.
도움이 된 답변이라면 채택 부탁드려요!
취업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채택
H
HOE
동화약품
코대리
∙ 채택률 75%
안녕하세요
두 분야다 분석역량이 바탕입니다.
다만 경험상 QC는 정해진 분석방법을 잘 수행하고, 실수 없이 꾸준히 분석해서 품질을 관리하는 역량이 더 중요하고 연구직중 분석연구분야는 분석방법을 설정하고 밸리데이션된 시험법을 QC에 기술이전 하고, 품목허가에 필요한 분석적 자료를 만들어 내는것이 중요합니다.
두 분야 모두 분석기기를 많이 다루고 주어지고 반복적인 일을 잘 하실수 있으시면 QC를 새로운 분석법과 국내외 규정에 따라 허가자료를 만드는게 좋으시면 분석연구팀으로 진로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채택
곰직원
대웅바이오
코상무
∙ 채택률 96%
안녕하세요. 멘티님.
분석기기를 많이 다루는 연구실에 가신다면 QC 또는 연구소 분석연구원 모두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선호하는 인재상이 있는게 아니라, 업무를 할 수 있는 직무 역량을 중요시하니 어느 것이든 최소한 분석 기기들의 운영 방법 및 데이터 분석 능력은 제대로 공부를 하세요.
분석기기를 많이 다루는 실험실에서의 경험은 QC 직무에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QC에서는 다양한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때문에, 해당 경험이 직무 수행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연구직에서도 분석기기를 활용하지만, 연구의 방향성과 실험 설계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관심사와 직무의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