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 현대자동차 / 품질관리

Q. 품질관리직무를 희망하는 기계공학과 졸업생입니다. 품질관리 직무에서 기계공학도의 전망이 궁금합니다

기계공학과가 품질관리를 수행하는 산업이 자동차뿐이더라구요 또한 내연기관자동차가 생산될때는 품질관리직무에 기계공학과가 필요하지만 친환경 전기 수소자동차로 산업이 바뀌다보니 요즘 공고에서도 기계공학과 To가 줄어드는게 느껴지더라구요.. 멘토님들은 미래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지금 당장은 품질관리로 취직이 되더라도 10년 20년 후 이직할 상황이 생기면 그땐 정말 자리가 없을수도잇다는 겁이 생깁니다. 현재 품질관리를 위해 품질기사와 교육 등을 들어왓지만 지금이라도 설비나 생산기술쪽으로 타겟을 바꿔야할까요??

답변 3
메카닉 테디
코부장 ∙ 채택률 70%

지금 생각하시는 것과 실제 입사 후의 생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친환경 전기 수소 자동차로 바뀐다고 품질이 크게 바뀌지는 않구요....
왜냐하면,,,품질의 기본적인 의미는 자동차를 타는 사람이 안전하게, 스트레스 없이 탈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Process 나 Product 를 개선하는 것이기에...
품질 관리로 취직 후에 이직을 하시고 싶으시다면...입사 후 걱정 하셔도 늦지 않을 듯 합니다...
대부분 회사는 다 비슷비슷 해요~건승하세요~


채택
현대차가즈아
코과장 ∙ 채택률 69% ∙
회사 산업
일치

안녕하세요 현직자입니다.

품질관리 직무에서 업무를 하시기를 바라시는군요.
채용 공고에서도 기계공학 전공자를 많이 채용하지 않는다고 걱정을 하시는데,
이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 생각이 듭니다.

친환경차(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로의 흐름을 맞추기 위해서는 인원 감축은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기존의 내연기관차에 필요한 인원보다 훨씬 적은 인원만이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기계공학 출신 품질관리 인원이 필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결정하고 끝까지 정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화이팅입니다.


채택
잡브로
코부장 ∙ 채택률 86% ∙
회사 산업 학교
일치

안녕하세요. 현직자입니다.
시대적 흐름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대학에서의 전공은 말 그대로 채용을 위한 기준입니다.
품질관리로 채용이 되셨다면 그때부턴 그 부서에서 본인의 역량을 얼마나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각보다 대학에서 배운 전공을 쓸 곳이 없습니다.
그 말인 즉슨, 입사 후에 열심히 하면 10~20년 이후에 얼마든지 품질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품질 관리 직무와 본인이 맞다고 생각하시면 지원하시는게 좋습니다.^^
좋은 결과 기다립니다.


답변이 안보이시나요? 직접 질문해보세요.
글자수: 0 /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