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바이오 에피스와 바이오 로직스
안녕하세요! 삼성 바이오 에피스 세포주 개발 업무에 지원하고 싶은 학생입니다. 바이오 에피스는 연구개발쪽에 , 로직스는 위탁생산 쪽을 집중해서 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그러면 바이오 에피스에서 연구개발 한 것이 로직스에 적용되어진다고 생각해도 되나요?! 예를들어, 바이오 에피스에서 개발한 세포주를 로직스의 위탁생산에 이용하기도 하는지 궁금합니다! 다ㅂ
연구개발직 전기분야에서 바이오 분야 이직
사회예비초년생으로 아직 진로가 고민중에 있어 질문드립니다! 제 학부는 화학공학과이고, 학부과정동안 바이오 과목을 선택 수강하고 바이오 연구실에서 연구참여를 했습니다. 졸업전 바이오 진출시 진로가 걱정되어(바이오 고학력자들의 수에 비해 티오가 적다는) 전자, 공정분야로 과목을 수강하고 이쪽 분야 연구실에서 연구참여중입니다. 현재 고민이 되는 점은 전자쪽 분야와 잘 맞는지 확신이 들지않는데, 혹시 이쪽 분야에서 일을 해보다가 안맞는 경우, 바이오 쪽으로도 이직이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분야를 바꾸신 분이 있다면조언이 듣고 싶습니다!
바이오 제약 인턴 직무 고민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바이오 제약 회사쪽에 취업을 희망하는 석사 졸업생입니다. 제가 기기분석 경험이나 바이오 제약 쪽에서 요구하는 실험 스킬 경험이 부족한 듯 하여 인턴을 지원하여 경험을 쌓으려고 하는데 1. 기기분석과 유전자 조작을 통한 타겟 화합물 합성 등 회사 직무 등에 필요한 기술을 경험할 수 있되, 바이오 제약쪽 연구가 아닌 직무 (합성생물학 쪽) 2. 바이오 신약 개발 관련 직무로 단백질 정제, 엔지니어링 및 구조 기반 신약 개발 관련 기술을 경험할 수 있되, 기기분석이나 현재 바이오쪽 업계에서 사용되는 기술과는 살짝 다른 것으로 보이는 직무 중에 어떤 쪽을 지원하는 쪽 더 적절할 지 고민이 됩니다. 혹시 현직자 분들께서는 어느 쪽이 낫다고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바이오 연구개발 직무 공부와 서류제출 시점에 대해
안녕하세요 저는 생명과학과 석사 졸업생이고 제약 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 중 세포주개발 직무에 흥미가 있는 상태입니다. 선배님들은 혹시 제약 바이오 관련 각종 교육이나 공부를 통해 직무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다고 느꼈을 때 원하는 직무에 서류를 제출하셨나요? 아니라면 일단 직무에대해 완벽하게는 몰라도 넣어보거나, 추후 필요성을 느껴 더 공부를 하셨나요? 너무 기초적인 질문이라면 죄송합니다.. 아직 제약 바이오 산업과 직무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 같지 않아 어떤 시점에서 서류를 제출해야할지 고민이 되어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바이오 QC, 미생물 QC
종근당에서 바이오 QC와 미생물 QC를 따로 채용하더라고요, 바이오 QC는 업무에 이화학/생화학/미생물 시험이라고 포괄적으로 적혀있고, 미생물 QC는 무균시험, 엔도톡신 시험 경험 등이 우대 라고 적혀있는데 어떤 직무를 써야할지 고민이 되네요 ㅜㅜ 제가 생명과학과이고 단백질 실험실 1년, HPLC 기기교육 10시간, GMP 이론교육 경험이 있습니다. 그런데 미생물 실험 외에는 관련 실습을 해본 적이 없어서 미생물 QC로 어필하기에 한계가 있는것 같은데, 바이오 QC 지원시에는 세부 업무를 어떻게 나누는지 궁금합니다. 미생물/이화학을 동시에 시험하지는 않을것 같은데 분석기기 경험과 학부 연구생을 하면서 단백질/배지 제조 및 미생물 배양 등의 경험을 동시에 어필을 해도 되는지, 바이오 QC 업무에서 미생물 QC가 HPLC를 동시에 사용하기도 하는지 궁금하네요, 원료나 완제품의 경우에는 쓴다고 알고 있는데, 바이오의약품이 몇개 안된다고 해서 직무 선택에 고민이 됩니다 ㅠ
바이오 제약 연구개발 전공
안녕하세요. 바이오 제약회사 입사를 원하는 학생입니다. 저는 석사졸업생으로 분자생물학, 신경생물학, 세포생물학 부분을 전공하였습니다. 익숙한 실험으론 cell culture, PCR, RT-PCR, Cloning, Cell viability assay, GST protein purification, bradford assay (단백질정량), western blot, ICC, CHX chase assay (단백질 안정성 측정), FACS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luciferase assay, stable cell line 제작 (고안정성 세포주 개발)등 이 있습니다. 1. 아래의 연구개발 직무에 제 경험을 잘 연결한다면, 직무적합도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1-1. 재조합 단백질 기반의 항체 연구개발 1-2. 신약개발의 전략 수립 1-3. 세포주 개발 2. 제 전공으로 제약회사의 연구개발직에서 할 수 있는 직무가 어떤게 있을까요??
바이오 공정 노동강도와 근무지속성
22살 여자로 폴리텍 대학진학 후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CJ 등 바이오 배양공정 생산직 입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바이오 배양공정 4급의 노동강도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체력이 약한편이라 걱정입니다 2-평균근속연수가 2~3년으로 나오는 정보가 있는데, 오래 다닐 정도의 직장문화가 아닌가요? 어떤직장이든 본인 자세가 중요하지만 평균적인 직장 문화, 노동강도, 장래비전이라는게 있을것입니다 현직자나 퇴직자의 생생한 조언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종근당 바이오 공정 연구개발
안녕하세요. 종근당 공채에 바이오 공정 연구직으로 지원할 예정인데요. 세포배양 공정연구팀은 동물세포 배양을 이용하는 건가요? 구체적인 일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제가 석사 연구를 동물세포의 면역 신호전달 관련된 기초학문 쪽으로 했습니다. 제약회사들이 보통 기초학문 쪽을 잘 안뽑던데 종근당 바이오 공정 직무에 서류 통과할 수 있을까요?
바이오 의약품 개발 단계
안녕하세요, 대학원에서 단백질 연구를 한 석사 졸업생입니다. 바이오 의약품에 관심을 가지고 단백질 연구실로 진학을 해서 바이오 의약품 연구 쪽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단백질을 이용해서 치료제 연구를 하는 쪽은 전공을 했으니 어느정도는 파악하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바이오 의약품이 어떤 단계를 거쳐서 개발이 되는지, 임상 허가가 되는지,, 등등에 대해 실제로 기업에서는 어떤식으로 절차가 이뤄지는 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바이오 신약 연구원이 연구 업무 외에도 알거나 공부하면 좋을 부분도 같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이오, 제약회사 선배님들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서울 4년제 생명과학과를 이번에 졸업하는 28살 남학생입니다. 저는 학창시절 의사의 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역, 재수 2번의 도전에도 벽은 높았고 후회없이 지금학교 토목학과로 입학하였습니다. 1학년을 마치고 군입대를 하기 전 미래에 대해 다시한번 진지하게 고민해 보았었는데 약대를 준비하기로 결정하고 지금의 생명과학과로 전과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전역후 1년간 휴학을 하며 PEET를 준비하였지만 진학에 실패하였고 생명과학 전공을 계속 공부하였습니다. 3학년으로 복학하고 학부생활을 하며 2년간 정말 많은 진로고민을 했었는데요, 저희 과가 자연과학 분야이다보니 많은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을 한다는 것을 알고있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대학원에 가서 학문적인 공부를 계속 해 나가고 싶은 생각은 안들더군요. 그래서 취업을 하기로 결정했고 바이오, 제약회사 3가지 직무(생산,QC,QA)가 학사 학위로 준비할 수 있는 직무들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뒤로 각종 취업, 바이오, 제약 카페, SNS 등을 통해 이 분야 현직자들에게 조언을 구하였으며 제가 취업 준비를 할 때 해야할 것들을 정리하였습니다. 크게 어학성적(오픽,토스,토익), 직무경험(대기업 인턴, 제약회사 인턴, 연구실 인턴 등), 자격증(화학분석기사, 품질경영기사, GMP기술인, 밸리데이션기술인 등)이 필요하다는 조언을 구했습니다. 그리하여 1월부터 토익스피킹을 공부하며 바이오, 제약 분야 인턴 공고를 확인하고 지원해 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는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텍과 같은 바이오 대기업 계열사부터 셀트리온, 한미약품과 같은 제약회사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2월 21일 졸업예정이고 학점은 3.54/4.5, 현재 토익스피킹 7레벨을 목표로 공부중이며 2월까지 토익900 이상(PEET를 준비할 때 945점을 맞은 적이 있습니다)을 취득할 계획입니다. 선배님들께 제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입사를 준비해 가야할 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가장먼저 직무경험에 관하여 질문드리고 싶은데요, 일반생물학, 일반화학, 미생물 실험, 분자생물학 실험 등 학부 전공실험 시간에 미생물, 세포, 쥐 등과 HPLC, GC등의 기본적인 기기들은 다뤄 본 경험이 있습니다. 제가 준비하는 직무는 실험경험이 중요하여 대기업 인턴, 제약회사 인턴, 연구실 인턴 등 몇개월의 경험이 도움이 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학부 전공 실험 경험만으로 부족하여 앞서 말씀드린 인턴을 지원할 계획인데 옳은 생각일까요? 직무경험을 쌓는 방법으로 인턴도 있지만 다양한 교육(이매스에서 3-5일 정도 진행하는 실험기기교육, 코멘토에서 진행하는 직무부트캠프 등)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턴을 하지 않고 이러한 교육들로 직무경험을 쌓는 방법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인턴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상반기 공채에 집중을 하기가 어려워 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현직자분들께 앞서 말씀드린 자격증(화학분석기사, 품질경영기사, GMP기술인, 밸리데이션기술인 등)은 있다면 좋지만 필수는 아니므로 어학과 직무경험에 집중하라는 조언을 받았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물론 입사를 한 뒤에는 위 자격증 공부를 할 계획입니다. 처음으로 취업준비를 하게 되어 제가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들이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현직자 선배님들의 소중한 의견과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온라인 바이럴 마케팅 기획 직무에 대해 알려주세요.(경영학과)
학점은 3점 중반대 이후, 나이는 20대 중반, 자격증은 사회조사분석사 2급, 전산회계1급,6시그마(GB)이렇게 있고 영어는 공부중이라 아직 없습니다. 현재 취업하고 싶은 직무는 마케팅 직무이고요. 온라인 바이럴 마케팅쪽 공고 보고 지원하고 싶은데 조언 얻을 수 있을까해서 글 남겨봅니다. 진짜 취업 너무 하고싶어요. 1. 온라인 바이럴마케팅 기획 직무에 대해 하는일이 궁금합니다. 2. 온라인 바이럴 마케팅 또는 마케팅에 대해 공부하기 좋은 책, 사이트, 자격증 등 알려주실 수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3. 혹시 포트폴리오 같은 거는 기획서나 플랜, 제안서 이런거는 어떤식으로 어떤 항목들이 들어가야 하는 지, 내용은 어떤 식으로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4. 온라인 바이럴 마케팅 기획 직무 쪽으로 자소서를 어떤 식으로 어떤 강점?을 내세워서 쓰는 것이 좋은 것인지, 아니면 직무에 대한 좋은 점, 꼭 필요한 역량 등을 알려주세요 고민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꼭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CJ 제일제당 바이오 품질관리는 무슨일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제일제당 바이오 품질관리에 지원하려는 화학공학과 학생입니다. 제가 화학공학과라서 공정쪽에 전공지식이 많은데 품질관리에서도 공정변수를 컨트롤해서 수율이나 품질을 올리는 부분이 있을까요? 그 외에는 통계학 수강해서 공정데이터 분석하는 걸로 어필할게 없는것같습니다.. 바이오 품질관리에서 이뤄지는 일들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제가 알기론 국내에는 바이오 공장이 이제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바이오 품질관리는 서울에서 근무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이 근무지가 본사건물인가요 아니면 영등포 식품공장쪽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