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G화학 전지 생산기술 직무 관련 경험에 대해 답변을 하고있습니다. 제가 가진 경험은 포장상자 인쇄공장에서 일해본 경험, 학교 실험수업에서 리튬이차전지 음극 제조 시 낮은 전위 문제를 해결한 경험 이렇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경험은 아래와 같습니다. 포장상자 인쇄 공장에서 일하며 공정의 흐름을 경험해보고 라인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본 경험이 있습니다. 인쇄공장에서는 상자에 인쇄지를 붙이는 라인, 붙인 인쇄지를 프레싱하는 라인, 모양에 맞게 자르는 라인, 그리고 자른 포장상자를 개수별로 묶는 라인 총 4개의 라인이 있었습니다. 저는 인쇄지 부착 라인에서 일을 했었는데, 이 때 출력속도가 맞지 않아 인쇄지 2장이 한 상자에 겹쳐나오는 등의 라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저는 정상품을 다음 공정으로 넘기는 일을 했었지만 문제가 빨리 해결되지 않으니 작업도 지연되었습니다. 이 때 관리자가 라인 속도 세팅을 조작하여 문제가 해결되는 과정을 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공정 프로세스 이해도가 높아졌고, 라인 내 문제 발생 시 빠른 대처의 중요성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제가 속한 공정에서도 프로세스와 이슈에 대응 작업을 이해하고 빠르게 직무에 적응하겠습니다. 두 번째 경험은 아직 면접식으로 답변을 구성하지는 않았고 자기소개서에 작성한 내용입니다. "경험을 통해 기른 해결력" 전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문제 해결 역량을 길렀습니다. 학교에서 직접 만든 전극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했을 때, OCV 측정 전위 값이 112mV밖에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저는 음극 제조 시 더 낮은 점도로 슬러리를 믹싱하면 전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라 판단했습니다. 팀원에게 NMP 양을 조절해 다시 제조해 볼 것을 제안하였고 2.7V로 효율을 개선하여 이를 해결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전지 제조 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생산기술 엔지니어로서 가져야 할 문제 해결 역량을 길렀습니다. 위 두 가지 경험 중 과연 어떤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더 직무와 연관성있어보일지 궁금합니다! 두 번째는 문제해결역량을 어필하는 것은 괜찮지만, 아무래도 음극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실제 전지사업본부에서 셀을 제작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장 상자 제조 공장에서 일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 때 용어가 잘 기억이 나지 않아 이렇게 여쭤봅니다. 공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상자와 인쇄지를 풀로 붙여 압착하는 라인 2. 상자를 코팅하는 라인 3. 모양에 맞게 자르는 라인 4. 중간에 뭐가 하나 더 있었는데 기억이 안납니다ㅠ(아시면 꼭 알려주세요) 5. 단위 개수 당 끈으로 묶는 라인 1번 라인에서는 상자와 인쇄지가 하나로 붙어 빠져나오잖아요 이 빠져나온 것을 뭐라고 하나요? 토출물이라고 하기에는 좀 어색한 것 같고, 결과물이란 표현도 아무래도 라인 중간에서 빠져나온 것이니까 애매하고.. 또 1,2,3,4,5 전체를 통틀어 '공정', 그리고 각각의 번호를 '라인'이라고 표현한 것도 맞나요? 감사합니다!
완성차 조립 공정의 경우 많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많은 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자동 설비등이 별로 없고 그 조립공정의 라인 관리자의 경우 실질적으로 설비에 대한 지식이나 동작법을 알 필요가 없고 사람관리를 잘하고 부품을 많이 알고 각 기능을 잘 알아서 부품 및 완성차 품질 점검만 잘하면 되는 것인가요? +그 외 불량이나 가동률 수익 관련 자료와 같은 업무도 있도 비품 불출 및 관리 업무도 있고요? 조립 라인 관리자의 전체 업무와 필요 역량이 너무 궁금합니다. 제가 현재 어떤 기업의 협력업체관리자이며 평소 가동률 향상 및 개선 업무를 하며 라인 작업자들이 필요한 물품 및 치공구를 불출하는 역할입니다. 그리고 저희는 다 자동화 설비이기 때문에 제품을 옮겨주는 치공구 제작이 중요하고 치공구 소재 및 형상 개선이 중요하여 이 부분이 주업무입니다. 생각해본 결과 이 주업무가 현대기아차 조립 공정에서는 어필할 수 없는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